존치 여부를 두고 논란을 빚었던 대구 남구 캠프워커 반환 부지 내 관제탑이 철거된다.
15일 대구시에 따르면 캠프워커 반환 부지 내 관제탑은 토양 정화를 위해 우선 철거한 뒤 추후 관제탑 조형물 등의 형태로 복원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캠프워커 반환부지 내 관제탑은 지난해 말부터 존치 여부를 두고 갈등을 빚었다. 역사적 상징물로 남겨야 한다는 입장과 토양 오염 정화를 위해 철거해야 한다는 주장이 팽팽히 맞선 것. 관제탑이 있는 자리에는 대구 평화공원(5만8천50㎡)이 들어설 예정이다.
토양 정화 사업측 전문가는 관제탑 아래 토양 오염이 심하다는 이유로 철거 뒤 정화 작업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반면 문화재 전문가 측은 관제탑이 미군 기지가 있었다는 사실을 나타내는 근·현대사의 상징적인 건축물이라는 이유로 존치를 주장하며 대립했다.
관제탑을 그대로 둔 채 정화 작업을 진행하자는 논의도 오갔지만 정화에 오랜 기간이 걸리고 오염 물질이 번졌을 때 책임 소재가 불분명하다는 한계가 지적되면서 의견 차이는 쉽게 좁혀지지 않았다.
2020년 환경부가 진행한 캠프워커 반환 부지 내 토양 오염 조사 결과에 따르면 관제탑 아래 토양에는 유류에 의한 오염 여부를 판단하는 물질인 석유계총탄화수소(TPH)가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양측의 주장을 검토한 대구시는 최근 관제탑을 우선 철거하기로 결정했다. 관제탑 철거 없이는 완벽한 토지 환경 정화가 불가피하다는 판단에서다.
철거와 정화 뒤 추후 평화공원이 본격 조성할 즈음 관제탑 조형물 등 복원 논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철거는 추후 국방부의 승인을 거쳐 진행된다.
대구시 관계자는 "6월부터 시작되는 토지 정화와 시민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판단에 철거하기로 했다. 관제탑 복원은 추후 대구시 평화공원 조성 시 복원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는 캠프워커 반환부지 내 대구도서관이 들어설 부지(2만8천967㎡) 중 일부(560㎡)에서 발견된 유구(遺構·옛날 토목 건축의 구조와 양식을 알 수 있는 실마리가 되는 자취)에 대해서도 발굴 조사를 진행 중이다.
환경오염 정화사업을 위탁받은 한국환경공단에 따르면 유구는 물길, 담장 흔적 등 단순 생활 흔적으로 파악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환경공단은 다음 달 초까지 조사를 마친 뒤 문화재청에 보고할 계획이다. 유구의 정확한 가치에 대해서는 고고학 전문가의 판단을 기다려야 한다.
유구가 발견된 부지 외에 걷어낸 토양은 모두 이설을 마쳤고 현재 환경오염 검증 중이다. 오염이 없다는 분석 결과가 나오면 대구도서관 공사가 본격화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