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덩치 커지는 대구시의회… 66년 된 건물 쓰는데 '공간 부족' 어쩌나요

시의원 수는 두 명 늘어날 뿐이지만
상임위 추가로 사무실 6개 더 필요
시청 이전 예정으로 리모델링 곤란
시청처럼 주변 민간 건물 임대할듯

대구시의회 청사. 과거 대구시청으로 쓰던 건물로, 1956년 준공됐다. 매일신문DB
대구시의회 청사. 과거 대구시청으로 쓰던 건물로, 1956년 준공됐다. 매일신문DB

국회가 광역의원 선거구 획정 작업을 마치면서 '새 식구' 두 명을 추가로 맞이하게 된 대구시의회가 고민에 빠졌다. 시의원 정수가 늘어나는 건 좋지만, 낡고 좁은 시의회 건물에 더 이상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워서다.

국회는 지난 15일 본회의에서 지역구 광역의원 정수를 39명, 기초의원은 51명 증원하는 내용이 담긴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대구시의회는 6·1 전국동시지방선거를 기점으로 시의원 정수가 기존 30명(지역구 27명, 비례대표 3명)에서 지역구만 두 명 더해진 32명으로 늘어나게 됐다.

의석이 늘어나는 지역은 각각 달성군과 수성구다. 달성군은 기존 2명의 시의원을 뒀지만 3명으로 늘어나게 됐고, 수성구는 4명에서 5명으로 늘어난다. 달성군에서는 다사읍과 하빈면을 제3선거구로 떼내고, 수성구는 기존에 제1선거구와 제2선거구로 흩어져있던 만촌1·2·3동을 범어2·3동과 묶어 별도 선거구로 분할할 것으로 파악됐다.

문제는 시의원 2명이 늘면서 생기는 행정적인 변화 폭이 생각보다 크다는 점. 지방자치법 시행령에서 각 지방의회의 상임위원회·전문위원 수를 정하는 기준인 '의원 30명'을 초과하게 되면서 시의회 입장에서는 상임위원회를 하나 더 만들 수 있게 됐다.

지역 정가와 시의원들은 당연히 환영하는 입장이다. 상임위원장 '감투'가 하나 늘어나기 때문이다. 현재 대구시의회에는 운영위원회를 제외하고 기획행정위원회·문화복지위원회·경제환경위원회·건설교통위원회·교육위원회 등 5개 상임위원회가 있다.

이 가운데 업무 수요가 많은 문화복지위원회가 2개로 쪼개질 것이 유력하다. 당연히 상임위원장과 부위원장 자리가 하나씩 더 생기고, 전문위원도 1명 늘어난다.

그러나 실무를 보는 시의회 측 입장에서는 '공간 문제'가 골칫거리다. 현재 대구시의회 청사 건물은 과거 대구시청으로 쓰던 곳인데, 한국전쟁 직후인 1956년 5월 준공됐다. 여러 차례 리모델링을 거쳤지만 근본적인 공간 부족 문제는 어쩔 수 없어 완전히 포화상태라는 게 시의회 측 설명이다.

대구시의회 본회의 전경. 시의회 제공
대구시의회 본회의 전경. 시의회 제공

대구시의회 관계자는 "지금도 공간이 너무 부족한 통에 사무실에 가벽을 설치해 공간을 나누자거나, 화장실을 없애자는 우스갯소리까지 나올 정도"라고 털어놨다.

이런 상황에 상임위원회가 하나 추가되면서 사무실이 6개나 더 필요하게 됐다. 상임위원장실은 물론, 전문위원실과 전문위원행정실이 더 필요하고 해당 상임위 전용 회의실도 필요하다. 의원 2명이 늘어나면서 의원실도 두 곳이나 더 만들어야 한다.

때문에 시의회는 결국 대구시청과 마찬가지로 '원격 사무실'을 검토하고 있다. 인근 민간 건물을 임대해 공간을 늘리겠다는 얘기다. 2025년으로 예정된 대구시청 신청사 이전까지만 현재의 건물을 쓸 예정이어서 많은 돈을 들여 리모델링을 진행하기도 어렵다는 게 시의회 측 설명이다.

특히 이번에 늘어나는 두 명에 더해 향후 군위군의 대구시 행정 편입이 이뤄질 경우 군위군 몫의 시의원 1명도 추가될 수 있어 이 부분도 고려 대상이다. 현실적으로 시의원들과 상임위가 쓰는 공간을 다른 건물로 빼기는 어려운 탓에 공무원들이 일하는 의회사무처 사무실 일부를 이전하는 방식이 유력한 것으로 파악됐다.

신경섭 대구시의회 사무처장은 매일신문과 통화에서 "시청은 이미 공간 부족으로 별관에 더해 본관 주변의 민간 건물을 임대해서 쓰는 부서가 적지 않다"면서 "현재 시의회 인근의 여유 건물을 파악하는 중이다. 우리가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고, 대안을 마련해 시청과 협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