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3년 만의 7%대 대출금리 시대 오나…“주담대 상단 7% 넘어설 것” 전망

은행권, 기준금리 연말 최소 2.00% 예상
"은행간 금리인하 경쟁, 상승 속도 주춤할 것" 예상도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이 18일 적용 예정인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연 3.420~5.342% 수준이다. 지난해 말(3.710~5.070%)과 비교해 올해 들어 3개월여 사이 상단이 0.272%포인트 높아졌다. 연합뉴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이 18일 적용 예정인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연 3.420~5.342% 수준이다. 지난해 말(3.710~5.070%)과 비교해 올해 들어 3개월여 사이 상단이 0.272%포인트 높아졌다. 연합뉴스

연이은 기준금리 인상으로 13년 만의 시중은행 대출금리 '7% 시대'가 올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은행권은 연말까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2.00%까지 끌어올리면 대출금리 상단도 7%대에 진입할 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이 18일부터 적용 예정인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연 3.420~5.342% 수준이다. 지난해 말(3.710~5.070%)과 비교해 올해 들어 3개월 사이 상단이 0.272%p 높아졌다.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형) 금리는 연 3.600~4.978%에서 3.900~6.380%로 더 크게 뛰었다. 최저 금리가 0.300%p, 최고 금리는 1.402%p 급등했다.

신용대출은 현재 1등급·1년 기준 3.532~5.180% 금리가 적용된다. 지난해 말(3.500~4.720%)과 비교해 하단이 0.032%p, 상단이 0.460%p 뛰어 5%대를 돌파했다.

대출 금리 오름세는 올 연말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인플레이션 압력 등에 대응해 연내 기준금리를 계속 올리고, 시장금리도 전반적으로 우상향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주요국 금리 인상 속도에 따라서 3분기까지 2차례 추가 인상이 이뤄질 수도 있다"며 "기준금리가 2.00% 이상으로 오르면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최고 7%대에 도달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5대 시중은행 중 한 은행의 내부 주택담보대출 금리 통계에 따르면, 2007년 9월 7%를 넘어 2008년 12월 8.4%로 정점을 찍고 2009년 다시 7%대로 떨어졌다.

결국 하반기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예상대로 7%를 넘는다면, 2009년 이후 무려 13년 만에 다시 7%대에 진입하는 것이다.

다만 시장금리에 이미 한국과 미국 기준금리 인상 기대가 반영돼있는 데다, 은행의 금리 인하 경쟁까지 겹쳐 대출금리 상승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최근 가계대출 증가율이 많이 둔화한 상태에서 은행들이 금리를 인하하는 추세인 만큼 올해 대출금리가 7%대까지 올라가지 않을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실제로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이 지난달까지 4개월 연속 감소한 가운데, 은행들은 경쟁적으로 가산금리 조정 등으로 대출 금리를 낮추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2월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8년 1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오르긴 했지만, 아직 연 3.88% 정도에 머물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