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소멸위기' 처한 경북, 중소도시 살려 극복하자

인구 5만~100만 명 규모 중소도시, 농어촌-대도시 간 허리 역할
경북 13개 중소도시에 인구 88.5% 거주…소멸 막는 '인구댐'으로 키워야

소멸 위기에 처한 경북의 재도약을 위해서는 중소도시를 살려 거점으로 삼아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농어촌, 대도시 활성화 중심의 정책 방향을 틀고 중소도시를 키워 인구의 수도권 유출 방지 등을 위한 방어막으로 삼자는 구상이다.

20일 경북도 4월 인구동향 브리핑 자료를 살펴보면, 3월 도내 인구는 261만9천641명으로 전월 대비 2천385명 감소했다. 지난해 말 기준 1년간 출생아 1만1천195명보다 사망자가 1만8천640명으로 더 많아 자연감소 인구는 7천445명에 달했다.

2월 기준 전입(2만9천187명) 대비 전출(3만343명)의 규모도 큰 탓에 사회적 감소 인구도 1천156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현 상황을 볼 때 저출생·고령화, 타지역 이동 등으로 지역 내 인구 감소의 흐름이 멈추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내 중소도시 활성화에 관심을 둬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중소도시는 인구 5만~100만 명 규모 도시로 농어촌과 대도시 간 허리 역할을 수행한다. 도내 23개 시군 중 13개 시군이 중소도시로 분류되며, 여기에 거주하는 인구는 231만8천119명으로 전체의 88.5%를 차지한다. 중소도시를 어떻게 가꾸냐에 따라 도내 인구 감소를 막아낼 수 있을지 여부가 달렸다는 얘기다.

하지만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정책은 낙후지역, 대도시 등을 중심으로 한 활성화 전략이 주로 추진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소도시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 인식이 부족하다고 말한다. 민성희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은 인구동향 브리핑 기고문에서 "과소 지역에서 인구가 수도권으로 가지 않고 주변 거점으로 이동해야 한다"면서 "중소도시에 대한 정책 지원, 적정 규모의 중소도시권 형성을 통한 일정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했다. 즉 소멸위기에 처한 농촌에서 곧바로 수도권으로 인구가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인근 중소도시에 교육·의료·문화를 구축해 인구를 끌어들어야 한다는 의미다.

지방 중소도시는 인구 유출을 막는 지방의 1차 '인구댐' 역할을 해야 하며 대도시와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육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스페인 빌바오 ▷스웨덴 말뫼 ▷덴마크 오덴세 ▷영국 캠브리지 등 유럽의 주요 중소도시는 쇠퇴 위기에 처했지만 전략적인 정책에 힘입어 재도약한 곳이다. 경북에서도 문경은 청년네트워크를 통해 청년 인구 유입을 유도하고 있고, 의성에서는 이웃사촌 시범마을 등으로 지방소멸 위기 극복에 나서고 있다.

민성희 연구위원은 "최근 삶의 질 중심의 의식 전환, 저성장과 코로나19 등 변화를 감안할 때 중소도시 중심 정책은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서도 중요하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