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통령실 5수석 1기획관 유력…임기 시작 전부터 공약 파기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1일 오후 전남 광양제철소를 방문해 방명록을 작성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1일 오후 전남 광양제철소를 방문해 방명록을 작성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정부'에서 대통령실 체제가 '5수석(경제·사회·정무·홍보·시민사회)·1기획관(인사)'으로 바뀔 전망이다. 구체적인 그림은 오는 24일 드러날 것으로 전망된다.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은 21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직제 개편과 인선을 같이 발표할 것"이라며 대통령실 직제에 대해 "6수석은 아닐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24일 인선을 발표할지에 대해 "할 수도 있다"며 "그런데 토요일(23일)에 당선인에게 보고하고 마음에 들면 발표하고 부족하다고 하면 좀 걸릴 것이다. 일부 검증에 들어간 분도 있고 아닌 분도 있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윤 당선인 측도 이날 대통령실 체제에 대해 "5수석·1기획관 체제로 가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인사는 수석비서관과 비서관 사이인 '기획관'을 둘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현행 8수석 체제에서 민정·일자리수석은 폐지가 확실시된다. 나머지 주요 수석은 존치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이다. 현실적으로 각 수석실이 담당해 온 기능과 역할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수석' 명칭을 '보좌관' 등으로 대체하는 방안도 검토됐으나 '수석' 명칭 그대로 사용하는 방안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현재 정가에서 점치는 대통령실 '수석' 유력 주자 중 대구경북(TK) 출신 인사는 없다.

우선 최상목 전 기획재정부 1차관이 경제수석을 맡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정무수석에는 이진복 전 의원의 내정된 것으로 전해졌으며, 사회수석에는 인수위 사회복지문화 분과 인수위원인 안상훈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시민사회수석엔 강승규 전 의원 등이 하마평에 올랐고 홍보수석과 대변인은 전·현직 언론인 등을 대상으로 인선 작업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1급 공무원에 준하는 비서관 수도 현행 51명에서 30명 안팎으로 줄일 것으로 알려졌다.

민정수석실이 폐지되는 만큼 반부패비서관이 사라지며, 대통령실 내부를 감찰하는 준법감시관에는 내각 인선 검증을 담당했던 주진우 변호사가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을 보좌하는 부속비서관에는 강명구 전 대선 캠프 일정팀장이 거론된다.

한편, 윤 당선인이 '제왕적 대통령제 청산'이라는 구호에만 집중하며 현실성 없는 약속을 하는 바람에 임기 시작도 하기 전에 공약 파기를 하게 됐다.

윤 당선인은 대선 공약집에서 "기존 대통령실은 부처 위에 군림하며 권력을 독점했다"며 "수석비서관 폐지"를 약속했다. 수석비서관실이 제왕적 대통령의 권한을 위임받아 정부 부처를 지휘하면서 '청와대 정부'의 폐단을 낳고 있다는 문제의식이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