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IMF회의서도 집단 퇴장으로 '러시아 보이콧'…이번엔 홍 부총리도 동참

홍 부총리 "국제공조 동참 필요성·한국의 독특한 여건 종합 판단"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오른쪽)이 18일(현지시간)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 참석차 방문 중인 미국 워싱턴D.C에 위치한 국제통화기금(IMF)에서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와 면담하고 있다. 연합뉴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오른쪽)이 18일(현지시간)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 참석차 방문 중인 미국 워싱턴D.C에 위치한 국제통화기금(IMF)에서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와 면담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제통화기금(IMF) 회의에서 각국 대표들이 러시아 대표의 연설에 집단 퇴장하는 '러시아 보이콧'을 이어갔다. 이번에는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동참했다.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 회의에서 안톤 실루아노프 러시아 재무장관이 화상으로 연설하자 상당수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항의하는 뜻에서 자리를 떴고 자신도 이에 동참했다고 홍 부총리가 밝혔다.

홍 부총리에 따르면 이날 회의장 원탁 앞줄에 앉은 18개국 장관, 6개 국제기구 수장 중에서 3분의 2인 12개국 장관, 4개 국제기구 수장들이 동시에 회의장을 이탈했다.

회의장을 퇴장한 국가는 한국 이외에 미국, 영국, 일본, 캐나다 등 주요 7개국 대표 전원 등이었다.

반면 계속 자리를 지킨 국가는 스페인, 인도, 인도네시아, 스위스, 브라질, 나이지리아 등 6개국으로 그간 대(對)러시아 제재에 미온적이었던 국가들이었다고 홍 부총리는 전했다.

앞서 전날 열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때도 러시아 재무 장관의 연설이 진행되는 동안 일부 국가 장관과 대표단이 퇴장했으나 홍 부총리는 이에 동참하지 않았다. 미국과 영국, 캐나다 장관 등이 러시아 보이콧을 펼쳤고, 화상 회의에 참여했던 프랑스는 화면을 끄는 방식으로 동참했다.

IMF 회의에선 '러시아 보이콧'에 동참한 국가들이 크게 늘었다.

홍 부총리는 전날 자리를 지켰다가 이날 퇴장한 데 대해 "대러 제재에 대한 국제 공조에 동참하는 의미에서 오늘은 뜻을 같이할 필요가 있겠다고 판단해 자발적으로 퇴장했다"고 밝혔다.

또 전날 회의에서는 퇴장하지 않은 이유를 묻자 "국가 간 그런 행동에 대한 예측과 반응이 잘 조율되지 않았다"며 "어제는 G7 국가 중에서도 안 나간 나라가 있었던 것처럼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나타난 현상이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홍 부총리는 G20 내에서도 명분 없는 전쟁을 하는 러시아의 회의 참석이 부적절하다는 의견과 정치적 상황에 영향을 받아선 안 된다는 견해가 같이 제기됐다면서 "저는 대러 제재에 대한 동참이 필요하다는 것과 함께 한국이 갖는 독특한 여건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판단한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둘러싼 갈등으로 인해 전날 G20 장관회의에 이어 IMFC도 이날 공동성명을 채택하지 못한 채 회의를 마쳤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