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7천원짜리 부실 학식'에 뿔난 서울대생들…"학식은 복지" 총장에 개선 요구

서울대 학식. 온라인커뮤니티

서울대가 최근 학식 가격을 7천원으로 인상하면서 학생들 사이에서 '부실학식' 불만이 불거져 나온 가운데 학생들과 학내 노동조합들이 학교 측에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서울대 학생들과 학내 노동조합 등 18개 단체로 구성된 '비정규직 없는 서울대 만들기 공동행동'은 27일 학교 본부와 생활협동조합 사무처에 학생 단체급식의 품질 개선을 위한 5대 요구안을 발표했다.

이들은 오세정 총장을 향해 ▷식사 질 개선과 저가 메뉴 확충 ▷세트 메뉴에 대한 대학의 가격 보조 ▷임대료 영구 전액 면제 등 대학의 생협 재정 지원 확대 ▷인력 충원을 통한 식당 운영 개선 ▷생협 학생 식당의 대학 직영화 등 5개 사항을 요구했다.

이들은 "코로나19 시기 동안 사실상 메뉴 명칭만 바뀌는 방식으로 실질 식비가 올라왔기에 체감되는 인상은 1천원보다 훨씬 높다"며 "가격은 높아지는 데 반해 식사 질은 현저히 낮은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아무리 물가가 높아지고 있다 하더라도 학식은 대학에서 공부하고 생활하는 구성원들에게 필수적인 복지"라며 "기본적 후생 복지의 가격 상승과 질 하락은 학생들의 생활권을 심각하게 침해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생협 재정이 어려워졌다고 하더라도 대학은 비용 부담을 대학 구성원에게 전가하지 않고 기본적 복지를 보장할 책임이 있다"며 "부총장이 생협 이사장을 당연직으로 맡는 등 생협에 대한 대학본부의 정책적 영향이 압도적인 상황에서 값싸고 좋은 밥을 먹을 학생들의 권리에 대해 총장이 응답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서울대 생협은 이달 1일자로 학생 식당 식대를 기존 3천∼6천원에서 4천∼7천원으로 인상했다.

그러나 대학생 익명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부실 학식'이라며 불만이 제기됐고, 일부 학생들은 학식 불매 운동까지 제안했다.

실제 서울대 총학생회가 지난 15~19일 학생 약 1천2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식대 인상 이후 실제로 학생 식당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반발이 이어지자 서울대 본부는 1천∼5천원 수준의 중간 가격대 메뉴를 제공하기 위해 밀키트, 도시락 자판기 등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