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통합신공항 등 대구경북 미래현안, 尹정부 국정 과제 모두 반영됐다

인수위 지역균형발전 비전…통합신공항 추진 동력 확보

김병준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장이 27일 오전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공동기자회견장에서 지역균형발전 비전 대국민 발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병준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장이 27일 오전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공동기자회견장에서 지역균형발전 비전 대국민 발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조속 추진 등 대구시와 경상북도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제안한 지역 공약들이 모두 새 정부 국정 과제에 포함되면서 지역 핵심 사업들을 대거 현실화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27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회가 발표한 '지역균형발전 비전 및 국정 과제'에 그동안 대구시가 제안한 7대 공약, 15대 정책 과제, 46개 세부 과제가 모두 포함됐다. 대구시 7대 공약은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건설 조속 추진 ▷5+1 미래 신산업 육성 및 KTX 역세권 첨단화 ▷대구시청 및 구 경북도청 후적지 문화예술허브 조성 ▷섬유·염색산업단지 첨단화 ▷달빛고속철도 건설 및 경부선 대구 도심 구간 지하화 ▷금호강 친환경 명품 수변공간 조성 ▷낙동강 수계 취수원 다변화 추진 등이다.

특히 대구시와 경북도 공약의 첫 공통 과제이자 가장 규모가 큰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조기 건설 및 항공 물류 산업화가 실천 과제에 반영돼 사업 추진에 큰 동력을 확보했다는 게 대구시의 설명이다. 대구시가 인수위에 요청했던 LH 등 국가 공공기관의 통합신공항 사업 참여와 국비 지원을 통한 군 공항 이전도 반영됐다. 대규모 복합 신공항 건설과 스마트 항공 물류단지 조성을 통한 중남부권 항공 물류 허브 육성, 신공항과 연계한 광역교통망 확충을 통한 배후경제권 조성 등 구체적 실천 방안도 제시됐다.

아울러 국가데이터허브센터 구축과 국립 대구경북 경제과학연구원 설립, 제2 대구의료원 건립, 국립근대미술관 건립 및 경부선 고속철도 대구 도심 구간 지하화 등 정부 의지가 중요한 신규 사업들도 대거 포함됐다.

경북도가 제안한 7대 공약과 15대 정책과제도 모두 포함했다. 7대 공약은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조기 건설 ▷광역교통망 확충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가속기 기반 신산업, 미래차산업 육성 ▷백신바이오산업 육성, 웰니스산업 추진 ▷스마트농업 클러스터 ▷낙동강 문화관광 르네상스 등이다. 이에 따른 정책 과제로 ▷충분한 규모의 스마트 민간공항 조기 건설 ▷신공항 시대 공항 경제권 육성 ▷신공항 연계 도로 철도망 조기 구축 등 신공항 관련 사안이 우선 눈에 띈다.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한 사업도 다수 반영됐다. 구체적으로 ▷국가 차세대 원자력 연구개발 거점 도약 ▷POST 탈원전 탄소중립 신(新)산업 클러스터 ▷가속기 활용 첨단산업 육성 ▷메타버스(디지털) 기반 제조 혁신 허브 ▷미래차 소재부품 산업벨트 ▷글로벌 백신바이오산업 거점화 등이 정책 과제로 이름을 올렸다.

문화관광 분야에서는 ▷낙동강 역사문화관광 글로컬(글로벌+로컬)화 ▷글로컬 경북 웰니스 문화관광 산업벨트 사업이 반영됐고 ▷의료 웰니스 격차 해소도 포함돼 열악한 지역 의료 인프라 개선에 청신호가 켜졌다. 농어업 분야에선 '기술 중심 첨단 농림수산업 대전환'과 '지속가능한 농산어촌 만들기'가 반영됐고, '국가 신발전 전략 SOC망 확충'도 선정돼 도로·철도망 건설의 물꼬를 틀 전망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