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보훈 분야 숙원 '대구독립운동기념관' 건립되나

광복80주년 기념사업으로 인수위 보고
지역 보훈분야 숙원사업, 2020년 독립유공자 후손 부지 기부에도 진전 없어
"새 정부서 속도낼 수 있을 것" 기대감, 29일 대경연서 관련 콘퍼런스

2020년 7월 20일 대구문화예술회관 팔공홀에서 대구독립운동기념관 건립추진 발기인 대회에서 장병하 독립운동지사를 비롯해 참석자들이 결의문 채택을 하고 있다. 매일신문DB
2020년 7월 20일 대구문화예술회관 팔공홀에서 대구독립운동기념관 건립추진 발기인 대회에서 장병하 독립운동지사를 비롯해 참석자들이 결의문 채택을 하고 있다. 매일신문DB

국가보훈처가 광복 80주년 기념 사업의 하나로 대구 보훈 분야의 숙원인 '대구독립운동기념관 건립' 사업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보고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건립 후보지의 건축 규제와 국비 지원 문제 등으로 별다른 진전을 보지 못했던 이 사업이 다시 추진력을 얻을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29일 대구독립운동기념관건립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에 따르면 국가보훈처는 최근 광복 80주년 기념사업으로 대구독립운동기념관 건립을 추진하겠다는 보고서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제출했다.

인수위가 이를 받아 들여 정부 차원의 사업으로 건립을 추진한다면 그간 지지부진했던 사업이 급물살을 탈 수 있을 전망이다.

대구보훈청 관계자는 "보고서는 제출됐지만 아직 인수위 측에서 반응을 보이지 않은 상황"이라며 "대구보훈청도 사업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다"고 했다.

전국에 독립운동기념관으로 운영되는 시설은 모두 72곳으로 지방자치단체나 시·도교육청, 민간 등에서 운영 중이다. 보훈처가 직접 운영하는 독립운동기념관은 3곳으로 모두 서울에 있다.

대구독립운동기념관은 국내 독립운동사에서 대구가 차지하는 위상 등을 고려했을때 건 립 타당성이 충분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구는 무장항일결사, 국채보상운동, 대한광복회, 의열단 등의 활동근거지였고, 174명의 독립유공자를 배출한 독립 운동의 성지다.

대구형무소 순국자 중 정부에게서 독립운동가로 서훈을 받은 사람이 176명으로 서울 서대문형무소(175명)보다 많다.

영남권의 중심인 대구에 독립운동기념관이 건립되면 천안에 위치한 독립기념관의 역할을 보완할 수 있다.

기념관 건립 추진은 지난 2020년 7월 대구독립운동기념관건립추진위원회가 출범하며 급물살을 탔다.

이에 독립운동가 백산 우재룡 선생의 후손이 대구 동구 용수동 팔공산 기슭에 4만7천516㎡의 땅을 건립 부지로 기부하기도 했다.

다만 이 부지가 맹지여서 법적으로 건축이 불가능해 제동이 걸렸고, 이후 이렇다 할 진전이 없었다.

이와 관련, 추진위는 기념관 건립 방안을 구체화하고자 29일 대구경북연구원과 함께 '대구독립운동기념관 건립 콘퍼런스'를 열고 기념관 건립 및 운영 방안과 내부 콘텐츠 구성 등에 대해 논의했다.

추진위 관계자는 "용수동 부지는 건축 규제와 함께 접근성이 떨어져 다른 장소를 찾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기부받은 땅은 매각해 건립 비용에 보태 의미를 더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김능진 대구독립운동기념관건립추진위원장은 "독립운동가 후손이 기념관 건립을 위해 재산을 내놓은 사례는 처음 있는 일이고 정부 실무자들도 의지가 강하다. 국비 지원을 포함해 차기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있길 바란다"고 기대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