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덕수 "일부 후보자 자진사퇴? 검토계기 있을 것"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가 2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질의를 듣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가 2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질의를 듣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는 2일 여러 의혹을 받고 있는 일부 장관 후보자의 거취 문제와 관련 "만약 총리로서 임무를 맡을 수 있다면, 다시 한번 (거취 문제를) 검토하는 계기가 있지 않겠나"라며 가능성을 열어놨다.

한 후보자는 이날 오후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의 '일부 후보의 자진사퇴 필요성을 대통령께 건의할 생각은 있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김 의원은 "아직 총리님도 인준 전이고 인사청문회 도입 이래에 인사청문회법이 정한 기일을 지키지 못한 첫 번째 사례가 되었다"며 "그런데 후보자가 추천한 국무위원 중에 일부는 위법성 여부를 떠나 국민적 공감대를 못얻는 분도 계시다"며 일부 후보자의 자진사퇴 필요성을 시사했다.

이에 한 후보자는 "그동안에 각 후보자가 나름대로는 우리 국민들과 인사청문위원님들을 향해서 좀 설명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역시 최종적인 판단은 인사청문위원회에서 해야 되는 것"이라고 판단했다.

아울러 한 후보자는 국무총리 후보자로서 국무위원 후보자를 직접 추천한 것에 대해 "매우 의미 있는 첫발이었다"며 "당선인께서도 내각은 좀 총리가 깊게 관여를 해서 정책을 추진해 달라고 하는 부탁이 있으셨다"고 밝혔다.

그는 책임장관제 구현 방안으로 "첫째는 그 장관이 자기 부처에 대한 인사권을 확실하게 갖는 것"이라며 "지금 청문회 과정에 다들 있지만, 자기가 같이 일할 차관들을 아주 백지에서 지금 선정하고 있다고 제가 듣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인사권과 동시에 예산권의 일부도 좀 줌으로써 자기 책임하에 새로운 프로젝트를 해 나갈 수 있도록 그렇게 할 것"이라며 "본인이 장관으로서 중점적 사업이라고 여기는 것에 대해서 집행을 하고 그 결과에 대해서 책임을 지는, 그런 시스템으로 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 후보자는 현 정권의 경제정책과 관련해 "성장률이 지금 조금 힘들어진 것도 문제지만 더 중요한 것은 잠재성장률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라며 "거의 5년에 1%씩 떨어지고 있어서 조금 가면 '제로(0) 퍼센트'가 될 것 같다"고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다.

그는 "잠재성장률이라는 건 결국 노동, 고령화가 되어서 일할 수 있는 사람들이 자꾸 줄어드는 게 문제고 우리나라 전체의 생산성도 떨어지고 있다"며 "생산성을 결정하는 것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사실은 사회갈등과 양극화이며, 통합과 협치가 안 되는 것이 결국 우리 사회 전체의 소위 말하는 총요소생산성을 계속 떨어뜨리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 후보자는 사회갈등, 양극화 심화를 극복하는 방안을 묻는 질의에 "기본적으로 정치권, 언론, 행정부, 일반 국민, NGO 그리고 모든 기업들이 다 같이 모여서 국가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정말 엄청난 혁신과 소위 자기혁신, 자기개혁이 일어나야 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정치권에 간곡히 부탁드리는 것은 통합과 협치없이 극복할 수 없다"며 "세계 모든 나라도 힘들어지는 나라는 다 분열하고 협치하지 못하는 나라이다. 이건 굉장한 위기로 받아들이고 잘 대응하지 않으면 미래가 없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