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인구가 '500만명' 밑으로 떨어졌다. 인구절벽 등 지방소멸의 위기에 대응하려면 정부의 적극적인 지역균형발전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 인구 및 세대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대구경북 인구는 대구 237만8천573명, 경북 261만7천552명으로 499만6천125명을 기록했다. 3월(500만135명)까지 가까스로 유지했던 500만명선이 끝내 무너진 것이다.
대구 인구는 2003년 252만9천544명을 정점으로 내리막 길을 걷고 있다. 2014년 12월(249만3천264명) 인구 250만명 선이 무너진 데 이어 지난해 6월(239만 7천646명)에는 1995년 달성군 편입 이후 처음으로 240만명이 무너졌다.
대구의 인구 감소세는 심각한 수준이다. 통계청이 지난 1월 '2021년 국내 인구이동'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지난해 대구에서만 2만4천여명이 순유출된 것으로 확인했다. 이는 서울(-10만6천명)에 이어 두번째로 큰 규모였다.
전망 역시 어둡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발표된 장래인구추계 결과를 바탕으로 대구와 부산 등 일부 광역시는 20년만에 10% 이상 인구 감소를 겪을 것으로 내다봤다.
대구경북 인구 감소는 곧 청년 인구 감소다. 대구시에 따르면 지난 한 해 순유출 인구 2만4천여명 가운데 20~29세 청년 인구만 9천여명이다. 청년 인구 감소와 노인 인구 증가는 결국 '지방소멸'의 문제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관련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대구경북이나 부산·울산·경남 등 광역권 발전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는 시점에서 '500만명'이 갖는 무게감과 상징적 의미를 상실한 것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하며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을 촉구했다.
안성조 대구경북연구원 연구위원은 "인구감소 대응을 지역에 맡길 것이 아니라 정부가 체계적으로 대구경북 광역권의 발전 전략 및 역할을 분배해야 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