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즈는 그냥 듣는 음악이 아니에요. 얼마나 치열한 대결인지 직접 봐야 해요. 저 친구들 보세요. 저 색소폰 연주자요. 방금 곡을 가로채서 멋대로 가지고 놀아요. 다들 새로 작곡하고, 편곡하고, 쓰면서 선율까지 들려주죠. 이젠 또 트럼펫이 할 말이 있군요. 서로 충돌했다가 다시 타협하고 그냥… 매번 새로워요. 매일 밤이 초연이에요. 진짜 기가 막혀요."
영화 '라라랜드'에서 주인공 세바스찬(라이언 고슬링)이 한 말이다. 극 중 재즈 연주자인 세바스찬에게 재즈는 그냥 흘려듣는 음악이 아니다. 음악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며 능동적으로 청취해야 하는 음악이고, 그렇게 해야 제대로 들을 수 있는 음악이다. 물론 그냥 듣는다고 해서 재즈의 아름다움을 알 수 없다는 뜻은 결코 아니었을 터. 다만 재즈는 그 내용이 만들어지는 메커니즘을 알고 나면 더욱 다양한 재미와 매력을 발견할 수 있는 종류의 음악이라는 의미였을 것이다.
이 책은 재즈 보컬리스트 남예지가 '재즈란 무엇인가'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한 결과물이다. 중앙대 글로벌예술학부 초빙교수로 재즈와 인문학의 융합 연구에 매진해온 학자이기도 한 지은이는 '인문학적 사유'란 다소 낯선 방식을 통해 재즈를 탐색한다. 독일 철학자 테오도어 아도르노의 재즈 비평을 소개하며 그에 대한 동의와 반박을 통해, 때론 정신분석학자 라캉의 이론이나 움베르토 에코의 대중음악에 대한 분석을 빌려 재즈에 대해 사유하는 식이다.
지은이는 우리나라의 재즈 연구 상당수가 연주 스타일과 음악 분석, 혹은 재즈 역사나 재즈 음악 시장 연구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인문학과의 융합 연구를 시작하게 됐다고 한다. 그래선지 재즈를 소재로 한 기존 책에선 찾아볼 수 없는, 철학‧미학‧심리학 등 다양한 시각으로 재즈의 정체성에 접근해보고자 한 지은이의 애정이 곳곳에 묻어있다. 재즈가 생소한 이들에겐 다소 어려울 수도 있지만, 관심 있는 이들에겐 더 없이 좋은 길잡이가 될 만한 책이다. 244쪽, 1만6천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