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내 또 변이 확인, 전파력 더 빠른 'BA.2.12.1'…밀접접촉자 16명 조사 중

미국서 입국한 50대 감염 확인
재조합 변이 XE, XM도 각 1건씩 확인

2일 대구 시내 한 쇼핑몰 앞에서 시민들이 마스크를 착용한 채 길을 걷고 있다. 이날 시민 대부분은 실외 마스크 의무화 해제 조치에도 마스크를 착용하는 모습이었다. 우태욱 기자 woo@imaiel.com
2일 대구 시내 한 쇼핑몰 앞에서 시민들이 마스크를 착용한 채 길을 걷고 있다. 이날 시민 대부분은 실외 마스크 의무화 해제 조치에도 마스크를 착용하는 모습이었다. 우태욱 기자 woo@imaiel.com

국내 우세종이 된 일명 '스텔스 오미크론'(BA.2)보다 확산 속도가 20% 이상 빠른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 'BA.2.12.1' 확진자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확인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3일 "지난달 16일 미국에서 입국해 같은 달 17일 확진된 50대 여성이 오미크론 'BA.2.12.1' 변이에 감염됐다"며 "확진자는 3차 접종을 마쳤으며, 임상적으로 특이한 상황들은 보고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해당 확진자와 밀접 접촉한 사람은 총 16명으로 파악됐다. 방역당국은 이들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며, 아직까지 추가 확진자는 나오지 않았다.

BA.2.12.1 변이는 BA.2에서 재분류된 세부계통 변이로 지난해 12월 미국에서 처음 검출됐다.

스텔스 오미크론(BA.2)은 기존 오미크론보다 전파력이 30% 정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방역당국은 BA.2.12.1 변이는 스텔스 오미크론보다 23~27% 빠른 검출 증가 속도를 보인다고 추정했다. 다만 BA.2.12.1 변이가 중증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박영준 방대본 역학조사팀장은 "밀접 접촉자부터 감염 의심자를 조사 중이다"며 "기존에 국내에서 확인된 재조합 변이 감염자들의 추가 전파 규모에 대해서도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방역당국은 오미크론 재조합 변이인 'XE'와 'XM'도 각 1건씩 추가로 확인해 역학조사를 진행 중이다. 이들은 각각 지난달 9일과 17일 국내 감염 사례로 확진 판정을 받았다.

또한 당국은 최근 남아공 등 일부 국가에서 BA.4, BA.5 등 변이가 출연하는 등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다며 해외 여행에 주의를 당부했다.

방대본 관계자는 "해외에 방문 예정인 국민들은 백신 접종을 완료하고, 필수 목적 외의 방문은 가급적 자제해 주길 바란다"며 "필수 목적으로 해외에 방문하는 경우 국내 입국 전후로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받고, 입국 후에는 최소 일주일간 대면 접촉을 최소화해 주길 당부한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