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MBC 제3노조 "이번 대선 하루도 예외없이 편파보도"

"야당 후보에 몇 가지 프레임을 씌우려는 기사들 반복"

MBC노동조합(제3노조)이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3월 초까지 MBC가 여당에 유리하고 야당에 불리하게 보도했다고 비판했다.

제3노조는 2일 성명을 통해 "작년 11월 말부터 올해 3월 8일까지 방송된 뉴스데스크 모니터링결과를 백서로 발간했다"고 밝혔다. MBC 노조는 같은 날 하루도 예외 없이 편파보도가 지속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MBC는 집요하다 할 만큼 여당에 유리하고 야당에 불리하게 보도했다면서 야당 후보에게 몇 가지 프레임을 씌우려는 기사들을 반복했다"고 평가했다.

예를 들면 민주당 이재명 후보 기사에는 '공약'을 담고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기사에는 '갈등'을 담거나 윤석열 후보 부인의 전화 녹음을 대대적으로 보도하다가 오히려 역효과를 낳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재명 후보 부인의 불법 의전 및 법인카드 유용 의혹을 축소 보도하고. 윤석열 후보에게 대장동비리의 책임을 전가하는 민주당 주장을 반복해 보도했다고도 지적했다.

이재명 후보를 유능한 행정가 · 실용주의자로 표현하고 치적 주장을 검증 없이 보도했다. TV토론에서 윤석열 후보가 집중 공격을 받은 것처럼 보도했다. 여야 후보의 발언을 검증한다면서 윤석열 후보를 주로 겨냥했다.

MBC 노조는 대선 기간 중 이재명 후보 유세 화면에는 청중이 가득하고 윤석열 후보 유세 화면에는 무대만 보이는 경우를 지적하기도 했었다.

MBC 노조는 이러한 보도 행태를 두고 "대한민국 대통령을 국민이 아니라 MBC 기자들이 정해주겠다는 오만함이 아니고는 설명하기 어려웠다"고 비판하고 "이제 정치의 언론 개입이 아니라 공영방송의정치 개입을 걱정해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고 질타했다.

MBC 노조는 MBC의 관리감독기구인 방송문화진흥회와 방송통신위원회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홈페이지에 소개된 권태선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의 "국민의 재산인 MBC가 신뢰받는 방송이 될 수 있도록 관리 감독하는 한편, 국내 방송문화 진흥을 위해서도 힘써왔습니다."라는 발언을 인용하며 "방송문화진흥회가 그렇게 관리 감독을 잘했으면 MBC가 대놓고 대선 편파 보도를 저질렀겠는가"고 반문했다.

이어 과거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을 해임한 적도 있는 방송통신위원회에 대해서도 관련법은 '방송의공공성과 공익성 제고'를 제정 목적으로 명시하고 있다면서 "MBC 등 공영방송의 편파 보도로 '방송의공공성과 공익성'이 무너질 때 방송통신위원회는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MBC 노조는 이번 대선 편파 보도는 방송문화진흥회와 방송통신위원회의 책임이라고 질책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