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中 최고위직 파견·日 총리 '친서'…동북아3국 분주 "尹 마음 얻자"

최고위급 축하사절단 파견으로 격 올린 중국, 시진핑 "중국 초청하고 싶어"
尹 가장 먼저 미국 사절단 만나… 日 기시다 총리는 친서 외교 "한일관계 앞으로"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오후 서울 용산구 용산 청사에서 아랍에미리트(UAE) 측 경축사절단 칼둔 알 무바라크 아부다비 행정청장 등과 접견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오후 서울 용산구 용산 청사에서 아랍에미리트(UAE) 측 경축사절단 칼둔 알 무바라크 아부다비 행정청장 등과 접견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10일 취임식과 함께 윤석열 대통령이 주요국 외빈들을 연이어 접견하며 국제 외교무대에 올랐다.

한국 새 정부 출범을 맞아 합을 맞춰 보려는 미·중·일의 한반도 주변 3개국도 '친서외교'를 가동하며 분주하게 움직였다.

중국은 이번 축하사절단에 역대 최고위급 인사를 파견했지만 대선 후보 때부터 한미일 삼각 공조를 강조한 윤 대통령 답게 이날 접견도 미국, 일본, 중국 순서로 진행돼 눈길을 끌었다.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오후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외빈 초청만찬에서 할리마 야콥 싱가포르 대통령, 하토야마 유키오 전 일본 총리, 더글라스 엠호프 해리스 미국 부통령 부군과 건배하고 있다. 2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오후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외빈 초청만찬에서 할리마 야콥 싱가포르 대통령, 하토야마 유키오 전 일본 총리, 더글라스 엠호프 해리스 미국 부통령 부군과 건배하고 있다. 2 연합뉴스


이날 오후 1시30분 5층 접견실에서 첫 손님인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의 남편인 더글러스 엠호프 단장 접견을 시작으로 일본의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 칼둔 칼리파 알 무바라크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행정청장, 중국의 왕치산 국가 부주석을 차례로 만났다. 할리마 야콥 싱가포르 대통령과도 정상환담하며 숨 가쁜 일정을 소화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엠호프 단장을 만나 "70년 역사의 한미동맹은 동북아 역내 평화와 번영의 핵심축이었다"면서 "미국의 여러 동맹 중에서도 한미 동맹은 가장 성공적인 모범 사례라고 저는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포괄적 전략 동맹'의 발전을 최우선 외교정책으로 삼겠다는 의지도 피력하면서 오는 21일 한국에서 열리는 첫 한미정상회담이 한미동맹의 격상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엠호프 단장은 "조 바이든 대통령은 10여 일 뒤 방한해 (윤) 대통령을 만나기를 굉장히 고대하고 있다"고 화답한 뒤 바이든 대통령 친서를 전달하며 "5년간 (윤) 대통령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싶다는 뜻을 담은 친서"라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오후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일본의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과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오후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일본의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과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 대통령은 이어진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 접견에서는 양국관계 개선을 위해 기시다 후미오 총리와 함께 노력하겠다는 뜻을 밝히며 "빠른 시일 내 (기시다) 총리를 뵐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기시다 총리는 이날 하야시 외무상을 통해 윤 대통령에게 친서를 전달했다. 윤 대통령의 한일관계 개선에 대한 의지를 평가하면서 "한일간 장애물을 제거하고 전체적인 한일관계 개선으로 이어갈 수 있도록 리더십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면담에서는 강제징용 배상판결부터 김포-하네다 노선 재개까지 여러 현안이 언급된 것으로 알려졌다.

왕치산 국가부주석을 위시한 중국 축하사절단도 윤 대통령에게 시 주석의 친서를 전달했다. 왕 부주석은 "시 주석은 (윤) 대통령이 양측이 편리한 시기에 중국을 방문하는 것을 환영하고 초청한다"면서 방중 초청 의사를 전달하는 한편, 중국이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의 격상을 위해 협력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왕치산 중국 국가 부주석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왕치산 중국 국가 부주석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취임식에 참석한 역대 중국 인사 중 최고위급인 왕 부주석은 시 주석이 자신을 특별히 파견했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다. 여기에는 '한미동맹 재건'을 내세우는 윤석열정부 출범을 계기로 한미간 밀착이 가속하는 것을 견제하려는 의도도 엿보인다.

윤 대통령은 이밖에 다른 외빈들도 접견하며 다각적인 외교전에 나섰다. 칼둔 아부다비 행정청장 접견에서는 바라카 원전사업 협력이 국방·방산·수소·ICT·보건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길 희망한다고 밝혔고 야콥 싱가포르 대통령과의 정상환담에서는 싱가포르의 주요 인프라 사업에 한국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여달라고 요청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