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 "코로나19 치명률 0.13%…더 낮아지기는 어렵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이 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코로나19 대응 비대면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이 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코로나19 대응 비대면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의 치명률이 현재 0.13% 수준에서 더 떨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정부 진단이 나왔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1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현재 이 치명률이 거의 한계치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11일 0시 기준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는 1천765만8천794명, 누적 사망자는 2만3천491명으로 치명률은 0.13% 수준이다.

지난 2월 1일 기준 치명률은 0.78%에 달했지만 전파력이 높고 중증도는 낮은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화됨에 따라 3월 29일 최저치인 0.12%로 하락했다. 그러나 약 열흘 뒤인 지난달 8일에는 다시 0.13%로 올라 지금까지 동일한 치명률을 유지되고 있다.

손 반장은 "현재 이 정도의 치명률이라면 세계적으로도 가장 낮은 축에 속하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내에서 2~3번째 정도로 낮다"면서 "여기서 더 낮아질 수 있을지는 다소 회의적"이라고 봤다.

그는 "계절독감의 치명률은 0.05~0.1% 정도인데, 0.13%의 치명률은 계절독감 치명률 범위 내에서 가장 높은 치명률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라면서 "새로운 변이가 우세종이 되거나 치료제·백신 개발 등 큰 변화가 수반되지 않는 한 현재의 치명률이 관리 가능한 최저 치명률로 보인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