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차기 구미시장 1호 과제는? KTX 구미정차 해결·대구취수원 구미 이전 재협상

구미경실련, 차기 구미시장에게 지역발전 공약으로 제안

경북 구미국가산업단지 일대 전경. 매일신문 DB
경북 구미국가산업단지 일대 전경. 매일신문 DB

구미경실련은 11일 차기 구미시장이 해결해야 할 지역 현안 1호 과제로 KTX 구미정차 해결과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 재협상을 제안했다.

구미경실련은 이날 성명을 통해 "차기 구미시장은 취임 직후 시민공청회를 열어 KTX 구미정차 방식을 놓고 ▷구미역 정차 ▷구미국가산단과 인접한 칠곡 약목읍 일대 신설 등 두 갈래로 엇갈린 지역 의견 논란부터 정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새로 구성될 구미시의회도 KTX 구미정차 방식의 단일안을 도출해 결의안을 채택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민·관 공동 'KTX구미정차 범시민유치위원회'를 결성, 시민행동으로 전개해 정부를 통해 지역현안을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구미경실련은 "KTX 구미정차 방식에 대한 논란은 이제 그만하고 민·관 공동행동 쪽으로 힘을 모을 때"라고 거듭 강조했다.

또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 문제는 재협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는 지난 4월 4일 체결된 구미 해평취수장의 대구 공동이용 협정에 'KTX 구미정차'에 대한 예산 지원 등 명확한 내용이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부산·경남·울산은 1급수인 창녕군 낙동강 강변여과수 45만톤(t)과 합천 황강 복류수 45만t을 공급하고, 울산 역시 1급수인 운문댐물 7만t을 공급하면서 구미·대구 시민들은 2급수인 기존 낙동강물을 그대로 먹으라는 협정에 구미시가 합의해 인격적으로 격하하는 차별정책이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구미경실련은 "취수원 재협상을 통해 구미에도 탄소중립시대에 걸맞은 강변여과수를 공급함으로써 시민들의 건강권과 삶의 질을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