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과한다던 김성회 또 논란 글…"조선여성 절반, 성적쾌락 대상"

'동성애·위안부 비하 논란' 김성회, 연이은 SNS 글 논란
대통령실 "지켜보겠다"

김성회 비서관
김성회 비서관

동성애 혐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비하 발언으로 논란이 된 김성회 대통령실 종교다문화비서관이 12일 "불편한 진실을 대할 때 함께 번영할 수 있다고 믿는다"면서 "여성인구의 절반이 언제든 주인인 양반들의 성적 쾌락의 대상이었다"는 글을 올려 또 다시 논란이 일고 있다. 대통령실은 이에 대해 "좀 더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김 비서관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독백(부끄러운 고백)'이라는 제목으로 "조선조에 절반에 달하는 40~50%의 인구가 노비였고, 그중 노비 2세를 낳을 수 있는 여성노비가 더 선호됐다. 여성노비는 외거를 하더라도 양반 주인이 수청을 요구하면 함께 밤을 보내야 하는 처지였다는 것은 역사학계에서는 일반화된 이론이다"라며 "결국 여성인구의 절반이 언제든 주인인 양반들의 성적 쾌락의 대상이었던 것"이라고 적었다.

이어 "왜 대한민국의 지식인과 언론은 자기만의 도덕적 편견에 사로잡혀, 불편한 진실을 외면하는가?"라며 "목숨이 두려워 거짓을 진실이라고 말할 수 밖에 없었던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그래도 지구는 돈다'고 했다. 두려운 것은 사회적, 도덕적 편견에 사로잡힌 사람들, 언론들의 손가락질이 아니라, 안락함을 위해 불편한 진실을 외면하려는 나의 비겁함"이라고도 했다.

앞서 김 비서관은 페이스북에 '동성애는 정신병의 일종'이라는 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보상 요구를 '화대'라 표현한 글 등을 썻다가 페이스북으로부터 활동중단 조치를 받기도 했다.

과거 글에 대한 비판이 쏟아지자 김 비서관은 전날 사과 입장을 밝혔지만, 이날 또 다시 논란이 될 글을 쓴 것이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은 "대통령실 비서관들이나 이런 분들에 대해서는 지금 이야기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닌 것 같다. 나중에 필요하면 말씀드리겠다"고 밝혔다.

그는 앞서 지난해 3월 인터넷매체인 '제3의 길' 기고문에서 "조선시대 절반의 여성이 성 노리개였다"면서 "일본군 만행에 대한 분노의 절반이라도 조선시대 노예제에 대해서도 탐구하고 분노하자. 국뽕에 취해 다른 나라에 삿대질하기 전에 우리 역사의 꼬라지를 제대로 알고 분노하자"고 밝힌 바 있다.

이날 페이스북 글은 '제3의 길' 기고문도 논란이 되자 자신의 발언 취지를 설명하기 위해 올린 것으로 보인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