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해평취수원 대구 공동 이용' 구미 지방선거 핫이슈

6·1 지방선거 결과 따라 협정문 원천무효 우려도…여야 시장 후보 입장 차
민주 장세용 "후속 조치 박차, KTX 역 신설 등 이익 챙길 것"
국힘 김장호 "협정 다시 검토, 이전 보상·정부 지원 불분명"

구미 해평취수장 모습. 매일신문 DB
구미 해평취수장 모습. 매일신문 DB

구미 해평취수원의 대구 공동 이용이 6·1 지방선거 결과에 따라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어렵게 대구시, 경북도, 구미시, 정부 등이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이하 협정)을 체결했으나, 실행 여부는 물론 자칫 협정 파기 우려까지 나온다.

구미에서는 구미 해평취수원의 대구 공동 이용 문제가 지방선거에서 핫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이 사안을 두고 더불어민주당 장세용 후보와 국민의힘 김장호 후보가 확연한 입장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유권자들의 선택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지역 정가는 분석하고 있다.

민주당 장세용 후보는 구미 해평취수원의 대구 공동 이용 문제를 지역 현안 해결 1순위로 삼겠다는 입장이지만, 국민의힘 김장호 후보는 지난 협정의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만약 김장호 후보가 당선되고 그 뜻을 실행에 옮기려 한다면 지난달 4일 국무조정실과 환경부, 대구시, 경북도, 구미시, 한국수자원공사가 체결한 협정은 힘을 잃을 공산이 커진다.

협정은 구미 해평취수장에서 하루 평균 30만톤(t)의 물을 대구시 등 경북지역에 공급하는 내용을 담았다.

장 후보는 정부에서 추진하는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과 협정에 협조하면서 지역 현안에 대한 정부와 대구시 지원을 끌어내겠다는 방침이다.

장세용 후보는 "재선에 성공해서 협정의 후속 조치를 속도감 있게 추진해 기업 요구 1순위인 KTX 역 신설, 해평습지 관광자원화 등 전폭적 지원을 받아 내겠다"고 강조했다.

반면 김 후보는 "임기 말 시장의 구미 해평취수원의 대구 공동 이용 협약을 규탄한다"며 "당선되면 협약이 구미에 이익이 되는지 등을 재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김장호 후보는 "구미 해평취수원의 대구 공동 이용 보상과 관련해 중앙정부 지원 부분이 불분명하다"며 "KTX 구미역 정차 지원 문제를 대구시·경북도가 지원한다고 하지만 중앙정부 결정 사항"이라고 했다.

단체장 두 후보의 입장이 엇갈린 가운데 구미시의원 선거에서 국민의힘 후보들이 대거 의회에 입성하게 된다면 협정 재검토 쪽으로 급격히 힘이 쏠릴 가능성은 더욱 커진다.

협정 조항에는 각 기관이 합당한 이유 없이 해당하는 협정의 내용과 이에 따른 세부 사항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각 기관 간 협의를 거쳐 협정을 해지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어 협정 자체가 무효가 될 수도 있다.

지역 정가 한 관계자는 "구미 해평취수원의 대구 공동 이용 문제가 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 대결 양상이 돼 선거 결과에 따라서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