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회식 불참할 거면 퇴사해"…거리두기 끝나니 '회식 갑질' ↑

직장갑질119 "회식 강요·배제는 직장 내 괴롭힘"
회식·노래방 필요성에 20대 vs 50대 인식 차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틀째인 19일 서울 시내의 한 식당 앞에 회식용 대형룸 안비 안내 배너가 세워져 있다. 연합뉴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틀째인 19일 서울 시내의 한 식당 앞에 회식용 대형룸 안비 안내 배너가 세워져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가 끝나니까 회식을 더 많이 합니다. 회식에 불참할 거면 그만두라고 퇴사 협박도 받았습니다."(직장인 A씨)

"대표가 미리 공지하거나 상의하지도 않고 '오늘 회식'이라고 하면 그날 무조건 참석해야 합니다. 가족 행사가 있어도 대표가 무서워 말도 못 하고 회식에 갑니다."(직장인 B씨)

직장갑질119는 15일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끝난 뒤 직장인들이 '회식 갑질'로 고통받는 사례를 공개했다.

단체에 따르면 직장인들은 회식에 참여하지 않았다가 퇴사를 협박받거나 임금협상 때 불이익을 받는다고 위협받는 등 상사의 회식 강요에 고통받았다.

반대로 회식을 매개로 해 마음에 들지 않는 직원을 따돌리거나 괴롭히는 사례도 있었다. 특정인을 회식에 참여하지 못하게 하거나, 특정인 몰래 회식하는 등 회식에 배제하는 방식이다.

회식 자리나 회식 후 귀가할 때 성희롱하는 일도 빈번했다.

단체는 "회식 강요는 명백한 직장 내 괴롭힘"이라며 "사장, 상사가 회식을 강요하는 건 우위를 이용해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어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를 하루 앞둔 17일 오후 서울 마포구 홍익대학교 인근에서 시민들이 술집 앞을 걸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를 하루 앞둔 17일 오후 서울 마포구 홍익대학교 인근에서 시민들이 술집 앞을 걸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앞서 지난해 6월 직장갑질119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 퍼블릭에 의뢰해 직장인 1천명을 대상으로 '직장갑질 감수성 지표'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회식문화에 대한 감수성은 50대와 20대 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팀워크 향상을 위한 회식이나 노래방 등은 조직문화를 위해 필요하다'는 문항에서 '그렇지 않다'고 답변한 응답자를 보면 20대는 평균 79.5점을, 50대는 63.7점을 각각 줬다. 20대 응답자의 반발감이 15.8점 차이로 더 컸다.

직급별로는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일반 사원(74.2점) 점수가 상위 관리자(60.5점)보다 13.7점 높았다.

단체는 "50대 관리자들이 회식이나 노래방 문화에 얼마나 무감각한지 보여주는 수치"라고 설명했다.

직장갑질119는 평등하고 안전한 직장생활을 위한 '회식 5계명'으로 ▷회식 강요·회식 배제는 직장 내 괴롭힘 ▷술 따르기·끼워 앉히기는 직장 내 성희롱 ▷음주·노래방 강요 금지 ▷고기 굽기 등 상사 솔선수범 ▷술자리를 불편해하는 직원 살피기 등을 제안했다.

최연재 직장갑질119 노무사는 "반복적인 술자리 강요나 회식에 참여하지 않은 노동자에 대한 따돌림, 폭언 등은 노동자에게 정신적 고통을 주는 직장 내 괴롭힘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어 "회식 자리가 편안한 자리라는 핑계로 상사가 폭언이나 성희롱을 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는 엄연한 직장 내 괴롭힘"이라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