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역점적으로 추진한 핵심 경제정책 '5+1 신산업'(미래형자동차, 의료, 물, 에너지, 로봇, ICT)의 지역 내 비중이 지난 5년간 소폭 증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신산업이 대구 전통산업과 비교해서는 성장이 두드러졌지만 지역산업 전체로 보면 여전히 비중이 낮다는 지적이다.
17일 대구시에 따르면 2014년 대비 2019년 5+1 신산업의 지역 내 비중은 사업체 수 0.31%p(4.83%→5.14%), 종사자 수 0.5%p(12.9→13.4%), 부가가치 2.81%p(31.34→34.15%) 등 소폭 늘어나는데 그쳤다.
대구시는 지난 2014년부터 지역의 미래 먹거리를 발굴해 이를 집중 육성한다는 취지로 물, 의료, 로봇, 미래형자동차, 에너지 등을 5대 신산업으로 정했다. 여기에 정보통신기술(ICT)을 바탕으로 한 스마트시티를 '+1'로 더해 산업구조 개편을 추진했다.
대구시는 지난 2016년부터 2019년까지 5+1 신산업 관련 기관과 기업에 각각 매년 500억~700억원을 지원했다.
대구테크노파크 대구과학기술진흥센터에 따르면 대구시 연구개발사업 중 5+1 신산업투자액은 2016년 604억원, 2017년 556억원, 2018년 564억원, 2019년 745억으로 집계됐다. 수혜기관 중 영리법인인 기업이 93.4%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결과적으로 신산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빠르게 성장했다.
2014년 대비 2019년 부가가치 기준 차별적성장률(대구 성장률-전국 성장률)은 에너지 18.2%, 의료 13.7%, 로봇 8.6%, 물 3.7%, 미래형자동차 2.5% 순으로 나타났다. 섬유(-0.8%)와 기계(-1.3%) 등 지역 전통산업이 부진했던 것과 비교해 성장은 분명 두드러진다.
그러나 지역 산업계는 "신산업에 대한 투자 대비 성과와 이에 따른 한계에 아쉬운 점도 크다"고 입을 모았다.
인재의 수도권 유출은 오히려 심화해 지역기업은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ICT 등 전 업종), 새로운 시대를 대비한 체질 개선에 혼란을 느끼고(미래차·로봇), 대구만의 특화산업이 아닌 다른 지역과의 경쟁에 직면해 있고(에너지·의료), 운영기관 문제로 기업 지원이 미비하다(물)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대구 한 중소기업 대표는 "신산업이 양적으로나 겉으로 보기에 성장했다고 하지만 기업이 피부로 느끼는 현실은 낙관적이지만은 않다"며 "너무 많은 산업을 목표로 잡은 탓인지 선택과 집중이 안 됐다는 인상도 준다"고 말했다.
민선 8기 대구시 체제에서는 5+1 신산업의 한계를 해결하고, 더욱 효율적인 성장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대구 산업 전체로 보면 지난 2019년 기준 5대 신산업이 차지하는 생산액 비중이 17%로 아직 많다고 할 수는 없다"며 "지난 8년은 척박한 땅을 고르고 씨앗을 뿌려 싹이 트는 시기였다. 이제부터는 어떤 전략적인 접근을 통해 열매를 맺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