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 "출범 100일 내 '과학방역' 체계 구축"…독립 전문가위원회 마련

산재한 정보시스템 통합, 올해 안 '빅데이터 플랫폼' 마련
당국 "한 치의 빈틈 없이 노력, 20일 안착기 전환 여부 발표"

코로나19 신규 확진이 104일 만에 1만 명대를 기록한 16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역 코로나19 선별검사소가 한산한 모습이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신규 확진이 104일 만에 1만 명대를 기록한 16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역 코로나19 선별검사소가 한산한 모습이다. 연합뉴스

방역 당국이 코로나19 재유행에 대비해 출범 100일 이내에 과학 방역체계를 마련한다고 밝혔다. 18일 백경란 신임 질병관리청장이 취임하는 등 방역 지휘부 구성이 속도를 내면서 새 정부의 기조에 맞춘 방역 시스템 정비가 본격화하고 있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총괄조정관은 18일 "전문가 중심의 독립위원회를 구성해 방역 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에 전문가 의견이 체계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위원회는 방역·의료 전문가로 구성돼 자문 역할을 맡게 되며, 11개의 세부 위원회를 둘 예정이다. 대통령 직속으로 설치될 것인지 여부는 결정되지 않았다.

당국은 기존 일상회복지원위원회가 확진자 급증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를 논의하는 데 기능이 집중되면서 전문가들의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점을 신설 이유로 들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위원회는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한 자문위원회의 성격인 만큼 (방역 정책에 대한) 결정 권한까지 부여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국 학교, 유치원에 바이러스 제거가 가능한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하는 방안도 마련된다. 현재 대부분 학교와 유치원에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돼 있지만 바이러스 제거 기능은 부족한 상황을 고려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공기정화장치의 효과성, 안전성 검증을 위한 부처 간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공기정화장치 설치 지원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만들 계획이다.

이 밖에 정부는 각기 다른 시스템에 분산돼있는 코로나19 환자·진료 정보를 통합한 '빅데이터 플랫폼'을 올해 안으로 구축하기로 했다.

현재 감시·진단·역학 정보는 코로나19 정보관리시스템, 입퇴원 및 진료 기록은 환자관리시스템, 재택치료·생활치료 정보는 재택치료지원시스템 등에 분산된 상황이다.

방역 당국은 안착기 전환 여부와 관련해 의료 대응 체계의 준비 상황 등을 고려해 20일 발표할 계획이다.

방역 당국은 "최근 유행 상황, 재유행 가능성, 변이 바이러스의 영향 등을 살펴보고 있다"며 "전문가 및 관련 부처와 논의한 후 중대본을 통해 말씀드리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방역 지휘부 공백을 둘러싼 우려에 대해서는 "국민들의 우려가 나오지 않도록 현재 한 치의 빈틈이 없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며 "현재 주간 일평균 확진자 수는 3만 명대를 유지하고 있는데, 일평균 10만 명 이내의 확진자는 충분히 관리 가능한 범위로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