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호남·정통경제 관료 출신 한덕수…盧정부 이어 두 번째 총리 맡아

임명동의안 국회 본회의 통과
DJ 정부 때 통상교섭본부장, MB 정부 땐 주미대사로 중용
尹, 韓 지명 '협치 상징성' 부각…민주, 격론 끝 '한덕수 인준안 찬성' 당론 채택

20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의 임명동의안이 통과되고 있다. 연합뉴스
20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의 임명동의안이 통과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임명동의안이 20일 가까스로 국회 본회의 문턱을 넘었다. 윤석열 대통령이 한 후보자를 지명한 지 47일 만이며, 취임 첫날이었던 지난 10일 '1호 결재'로 한 후보자 임명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한 지 열흘 만이다.

노무현 정부의 마지막 총리를 비롯해 재경부 장관 등을 지낸 한 후보자는 고(故) 장면·백두진·김종필 전 총리, 고건 전 총리 등에 이어 다섯 번째로 총리를 2번 역임하게 됐다.

한 후보자는 행정고시 합격 뒤 통상 분야에서 엘리트 코스를 밟은 정통 경제관료 출신으로서 그간 진영을 가리지 않고 중용돼 왔다. 김대중 정부에서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과 대통령 경제수석을 지냈으며 노무현 정부 때는 국무조정실장, 경제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 국무총리를 역임했다. 국무총리 재임 당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타결의 기반을 조성했고, 이명박 정부에선 주미대사를 지내 '미국통'으로도 꼽힌다.

윤 대통령은 "처음부터 협치를 염두에 두고 지명한 총리"라고 밝히는 등 한 후보자를 통해 '협치'의 상징성을 부각한 것으로 읽힌다. 대통령실도 한 후보자가 총리로 임명되면 오는 23일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서 열리는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추도식에 한 후보자를 비롯한 여권 고위 인사들이 대거 참석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협치 제스처'를 취했다.

172석의 '거대 야당' 더불어민주당은 한 후보자를 향해 전관예우 의혹 등을 제기하면서 일찌감치 '부적격'으로 결론을 내렸으나, 지방선거를 앞두고 발목잡기 프레임에 휘말릴 수 있다는 점을 두고 고심을 거듭했다. 민주당 기류는 윤 대통령이 지난 17일 야권의 임명 철회 요구에도 한동훈 법무부 장관을 임명하면서 '인준 반대'라는 강경 여론으로 쏠리는 분위기였다.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가 임명동의안 표결 직전인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한국생산성본부 건물에 마련된 국회 인사청문회 준비단 사무실로 들어오며 취재진과 인터뷰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가 임명동의안 표결 직전인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한국생산성본부 건물에 마련된 국회 인사청문회 준비단 사무실로 들어오며 취재진과 인터뷰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러나 이날 본회의 전까지 이어진 격론 끝에 민주당은 여야 간 극한 대치를 피하기 위해 '인준안 찬성'을 당론으로 채택했다. 윤호중 비상대책위원장은 의총 뒤 기자간담회에서 "임명동의안에 찬성하기로 한 것은 한 후보자가 그에 걸맞은 자격을 갖췄기 때문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총리 자리를 오랜 기간 비워둘 수 없다는 점, 그리고 야당이 막무가내로 새 정부를 발목잡기 하거나 방해할 의사가 전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것을 위해 우리가 가진 공직에 대한 기본적 기준에도 불구하고 인준 동의안을 가결하겠다는 대승적 결단을 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다만 1기 내각 완성에는 상당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현재 18개 정부 부처 가운데 교육부와 보건복지부를 제외한 16곳의 장관 임명이 완료된 상태다. 윤 대통령이 인준안 표결 뒤로 미뤄뒀던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거취 문제가 정국의 '뇌관'으로 남아 있고,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자리 역시 김인철 전 후보자 낙마 뒤 인선에 난항을 겪고 있다. 앞서 문재인 정부의 1기 내각 완성까지는 195일이 소요됐고, 박근혜 정부는 박 전 대통령 취임 51일 만인 2013년 4월 17일에 1기 내각 구성이 완료됐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