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이 열리는 날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한미 연합 군사훈련 등에 반대하는 시민단체 집회와 기자회견이 잇따랐다. 행인과 참가자 간 실랑이가 일부 있었으나 큰 충돌은 없었다.
21일 낮 12시 30분쯤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평통사) 관계자 약 70명이 전쟁기념관 앞에서 집회했다.
이들은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쿼드(Quad) 참여 반대, 전시작전통제권 환수와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철수 등을 요구했다.
평통사는 오후 1시쯤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 집회한 뒤 한미 정상이 만난 오후 2시쯤 다시 전쟁기념관 근처에서 집회를 이어갔다. 이들은 오후 6시부터는 다시 국립중앙박물관 서문 일대에서 집회한다.
비슷한 시각 전쟁기념관 앞 인도에서는 참여연대와 민주노총, 녹색연합,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변) 등 8개 단체로 구성된 민중공동행동이 집회했다.
참가자 약 100명(경찰 추산)이 한미 군사동맹 강화 중단, 사드 철거, 한미일 군사협력 강화 반대, 한미 야외 기동훈련 재개 중단, 미군 측의 미군기지 환경오염 정화 등 목소리를 냈다.
같은 날 3시쯤에는 민주주의자주통일대학생협의회(민대협) 10여명이 서울지하철 4·6호선 삼각지역 13번 출구 일대에서 '한미정상회담 규탄집회'를 열었다.
참가자들은 '한미동맹 파기하라!'고 쓴 현수막과 '윤석열 정부의 미국 신냉전 동참 반대!', '윤석열 정부의 북한선제타격 공식화 규탄' 등을 쓴 플래카드를 내세워 집회했다.

집회 도중 일부 참가자들이 경찰 펜스를 넘어 화장실에 가려다 경찰과 실랑이가 벌어졌다. 또 길 가던 시민들이 집회 참가자에게 "뭐가 불만이어서 그렇게 시위를 하냐"며 5, 6차례 불만을 나타내 경찰이 행인과 참가자들을 분리했다.
이 밖에 대통령 집무실과 가까운 전쟁기념관 일대에서는 조국통일범민족연합, 한국대학생진보연합 등이 집회를 열었다. 한미백신협약에 반대하는 1인 시위도 있었다.
반대로 보수성향 단체인 서울시재향군인회와 고교연합 등 700여 명은 이날 오후 현충원 일대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국립현충원 방문에 맞춰 방한 환영 집회를 열었다.
자유대한호국단 약 10명도 낮 12시 50분쯤 바이든 대통령이 묵는 그랜드 하얏트 호텔 인근 길목에서 바이든 대통령 일행이 이동하는 시점에 맞춰 태극기와 성조기를 흔들었다.
이날 경찰은 서울시 전역에 기동대 125개 중대, 1만여 명을 출동시켰다. 용산구 일대에만 약 100개 중대를 집중 배치했다.
이날 서울 전체에 신고된 집회는 61건, 총 1만6천여명 규모가 예정됐다. 실제 참석 인원은 신고 숫자에 못 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바이든 대통령 일정에 따라 차량 흐름을 상시 통제하는 대신, 그의 이동 일정 등에 맞춰 구간별로 차량 흐름을 일시 통제했다.
그럼에도 이날 나들이객과 집회 참가자 등이 몰리면서 용산 대통령 집무실 주변에 정체가 벌어졌다. 이날 오후 4시 30분 기준 서울 도심 차량의 평균 속도는 시속 13.5㎞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