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공무원조차 외면한 공무원 전용 메신저 '바로톡'…없어진다

국회, 올해 예산 전액 삭감

카카오톡과 비슷한 공무원 전용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과 비슷한 공무원 전용 모바일 메신저 '바로톡'이 올해를 끝으로 7년 만에 없어진다. 카카오톡, 텔레그램 등 민간 메신저에 비해 이용이 불편한 탓에 공무원조차 외면한 탓이다. 사진과 기사내용은 무관함.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카카오톡과 비슷한 공무원 전용 모바일 메신저 '바로톡'이 올해를 끝으로 7년 만에 없어진다. 카카오톡, 텔레그램 등 민간 메신저에 비해 이용이 불편한 탓에 공무원조차 외면한 탓이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올 연말 바로톡의 운영을 종료하고 민간 메신저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각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 지난 3월 공문을 보내 통보했다고 22일 밝혔다.

바로톡 서비스 종료는 사실상 예견됐다. 행안부는 2022년 바로톡 개선 사업 예산으로 16억원을 편성했지만,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바로톡을 이용하는 공무원이 거의 없다는 이유를 들어 예산을 전액 삭감했다.

바로톡은 공무원들이 메신저를 업무에서 쓰다가 자료가 유출되는 등 보안 문제 발생 위험이 지적되자 2015년 도입됐다.

그럼에도 바로톡은 매년 4억여원이 시스템 유지보수비로 투입되지만 유명무실한 서비스라는 지적이 국회에서 끊이지 않았다. 행안부에 따르면 중앙·지방 공무원 약 49만명 가운데 바로톡 가입자는 23만명으로 절반에도 못 미친다.

2020년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50개 중앙 부처와 17개 시·도 지자체 공무원 가운데 바로톡에 가입한 비율은 47.2%에 그쳤다. 특히 국가인권위원회(0.8%), 방위산업청(1.4%) 등 가입률이 1% 안팎에 불과한 곳들도 있었다.

행안부는 올 연말 바로톡 운영을 종료하면서 카카오톡 같은 개인용 메신저가 아니라 카카오워크나 네이버웍스 같이 보안성을 강화한 기업용 메신저를 도입할 계획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