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노 전 대통령 추도식' 여야 총출동…민주당, 대정부 메시지 없었다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3주기…5년 만에 방문한 文 전 대통령 SNS에 "늘 깨어있는 강물되어"
한덕수 국무총리 '한미 FTA 추진 성과' 언급하며 협치 물꼬 트고자 노력
국힘 지도부 함께해 통합 행보

23일 오후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에서 엄수된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3주기 추도식에서 권양숙 여사와 문재인 전 대통령 등 참석자들이 헌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23일 오후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에서 엄수된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3주기 추도식에서 권양숙 여사와 문재인 전 대통령 등 참석자들이 헌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야는 6·1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국회의원 보궐선거를 아흐레 앞둔 23일 오후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서 엄수된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 13주기 추도식에 총집결했다.

이날 추도식은 고인이 생전 추구한 가치를 추모하는 자리였지만 여당은 외연확대와 국민통합의 의지를 표출하고자 노력했고 더불어민주당은 지지층 결집을 기대하는 모습이었다.

다만 애초 예상과 달리 강경한 대(對) 정부 메시지 없이 차분한 분위기 속에 추도식이 마무리됨에 따라 이날 추도식을 지방선거 전세를 뒤집는 반전의 계기로 만들고자 했던 민주당의 전략에는 차질이 불가피하게 됐다.

5년 만에 추도식에 참석한 문재인 전 대통령은 추도식 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을 통해 "약속을 지켰고 감회가 깊다"면서 "우리는 늘 깨어있는 강물이 되어 결코 바다를 포기하지 않을 것입니다. 당신처럼"이라는 소회를 밝혔다.

정치권에선 문 전 대통령이 노 전 대통령이 생전 자주 언급했던 문장을 인용했지만 정치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여지를 최소화하려는 의지가 엿보인 입장문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이 추도사에서 "노 전 대통령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한국이 균형자 역할을 하려고 했고, 운명을 스스로 주도적으로 개척해 나가려고 애썼지만, 보수진영, 보수언론으로부터 '우리 주제에 무슨 균형자냐', '한미동맹이나 잘 챙겨라' 비아냥을 들었다"며 "그런데 문재인 전 대통령 5년을 거치는 동안 대한민국은 세계 10위 경제 대국, 세계 6위 군사 강국으로 우뚝 섰다"고 보수진영을 겨냥했지만 선거에 나선 민주당 후보들의 눈높이에는 한참 모자란다는 평가가 나온다.

민주당 관계자는 "추모식을 준비한 노무현재단이 '정치대립을 해소하고 노 전 대통령이 바란 소통과 통합의 민주주의를 향해 나아가자'는 취지를 강조했다"며 "또 추도식을 너무 정치적으로 이용한다는 반응이 나올 경우 오히려 선거에서 역풍이 불 수 있다는 우려도 작용한 것 같다"는 해석을 내놨다.

정부 대표로 참석한 한덕수 국무총리는 추도식 참석 후 "노 전 대통령은 지지세력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국익과 미래를 위해 한미 FTA를 관철했다"면서 "(노 전 대통령이) 지지를 잃어가면서, 외롭게 돼가면서도 국가 미래를 위해서 하셨다는 것을 윤석열 대통령도 평소에 굉장히 높이 평가했다"고 말하며 협치의 물꼬를 트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 총리는 노무현 정부 시절 국무조정실장과 경제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을, 특히 마지막 국무총리를 지냈다.

이날 추도식에는 민주당에서 윤호중·박지현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을 비롯해 박홍근 원내대표, 이재명 총괄선거대책위원장 등 지도부와 당 소속 의원들이 대거 집결했고 이해찬·이낙연 전 대표와 한명숙 전 총리, 문희상 전 국회의장 등 민주당 원로 인사들도 참석했다.

국민의힘에선 이준석 대표와 권성동 원내대표, 정미경 최고위원 등이 참석했다. 정부 대표로는 한 총리, 이상민 행안부장관,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이 참석했고 노 전 대통령 가족은 권양숙 여사, 아들 건호 씨, 딸 부부 정연·곽상언 씨 등이 자리를 지켰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