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혁신 성장' 주창한 삼성, 5년간 반도체-바이오 등에 450조 투자

미래 먹거리 분야에 대규모 투자 계획 발표
8만명 신규 채용, 총 투자액 80%는 국내서

삼성이 향후 5년 간 반도체·바이오 등 미래 먹거리 분야에 450조원을 투자한다.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사옥 앞. 연합뉴스
삼성이 향후 5년 간 반도체·바이오 등 미래 먹거리 분야에 450조원을 투자한다.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사옥 앞. 연합뉴스

삼성이 대규모 투자에 나선다. 앞으로 5년 간 반도체와 바이오, 인공지능(AI)과 신성장 정보통신(IT) 등 미래 전략 산업에 450조원을 투자한다. 또 5년 간 이 분야에서 8만명을 신규 채용한다.

삼성은 24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대규모 투자 계획 '역동적 혁신 성장을 위한 삼성의 미래 준비'를 발표했다. 이번에 밝힌 투자액은 삼성이 지난 5년 간 투자한 330조원보다 120조원 늘어난 규모. 연평균 투자 규모를 30% 이상 늘렸다. 투자할 450조원 가운데 80%인 360조원은 국내에 투자한다.

반도체 경우 강점을 보이는 메모리 분야에 5년 간 지속적으로 투자, 초격차 위상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신소재와 신구조에 대한 연구개발을 강화하는 한편 반도체 미세화에 유리한 첨단 극자외선(EUV) 기술을 조기 도입, 첨단기술을 선제적으로 적용한다.

삼성은 ▷고성능, 저전력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5G, 6G 통신 모뎀 등 초고속 통신 반도체 ▷고화질 이미지센서 등 팹리스(설계) 시스템 반도체와 센서 중심으로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국내에 신성장 팹리스 시스템 반도체 관련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게 지원해 시너지 효과를 노린다.

파운드리(위탁 생산) 사업에선 3나노 이하 제품을 조기에 양산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기존에 없던 차세대 생산 기술을 개발, 적용한다. 메모리 분야뿐 아니라 이 분야에서도 업계 선두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을 만들겠다는 생각이다.

바이오 분야에도 공격적으로 투자한다. '제2의 반도체 신화'를 구현하는 게 목표다. 소수 선진국과 대형·다국적 제약기업이 주도하는 바이오 업계에 투자를 강화, 경쟁력을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이다. 바이오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과 시밀러(복제약)를 주축으로 한 사업 구조를 확대, 고도화한다.

AI와 차세대 통신 등 신성장 IT 분야에서도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집중한다. 이 분야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만큼 우리나라 산업과 경제 전반이 고도화하는 데 보탬이 될 거라고 기대된다. 국내 신진 연구자들을 지원하고 청소년 대상 소프트웨어 교육을 통해 국내 AI 저변을 확대하는 데도 신경을 쓴다.

이날 삼성은 앞으로 5년 간 8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반도체, 바이오, 신성장 IT 분야 중심으로 채용을 확대한다. 지난해에도 3년 간 4만명을 채용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는데 이번에 발표한 채용 규모는 기존의 두 배다.

삼성 측은 "미래 신사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건 국가 핵심 산업의 경쟁력을 한 단계 높이면서 사회 전반에 역동성을 불어넣겠다는 것"이라며 "반도체와 바이오 공급망을 국내에 두는 건 경제 안보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