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반기문 "2050년 탄소중립, 기후위기 극복 단 하나의 해결책"

반 전 총장, 세계가스총회 '지속 가능한 에너지' 모두연설

24일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2022 세계가스총회에서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이
24일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2022 세계가스총회에서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이 '탄소중립을 향한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이라는 주제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24일 "만일 인류가 기후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한다면 궁극적으로 지구에서 살아남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반 전 총장은 이날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세계가스총회에서 '탄소중립을 향한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이라는 주제의 모두연설을 통해서 "단 하나의 해결책이 바로 탄소중립"이라고 강조하면서 이처럼 말했다.

반 전 총장은 "작년 우리는 유례없는 온도와 해수면 상승과 산불을 전 세계적으로 경험했다"라고 운을 뗐다. 기후위기가 눈앞에 다가왔다는 일종의 경고라는 것이다. 반 전 총장은 "이것으로 인해 엄청난 생물 다양성의 손실이 있었고, 이는 해양·토양·인류 자체에 위협이 됐다. 이 탓에 여러 국가 간 갈등도 고조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이제 더 이상 낭비할 시간이 없다"며 "인류는 반드시 생활양식과 에너지 사용 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결국, 오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이루는 것이야말로 유일한 해결책이라는 것이다.

반 전 총장은 "다행히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최근 방한을 통해 두 대통령이 공동으로 협력, 탄소 배출 저감 목표를 2030년까지 달성하고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의지를 다져 고무적"이라고 했다. 다만 "코로나19가 완화되고 경제회복이 이뤄지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다시 많아지고 있다"며 "현재 상황으로 볼 때 우리 모두의 목표인 '산업화 이전의 1.5℃ 이내'로 지구 기온 상승폭을 유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했다.

반 전 총장은 "이에 다시 한번 각 국가들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수정, 제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NDC는 파리기후변화협약(2015년)에 따라 당사국이 스스로 설정한 국가적 차원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인데, 기존에 제출한 감축량보다 더 높게 설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반 전 총장은 "대한민국 정부 또한 감축량 40%로 설정한 NDC를 43%으로 상향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전 세계가 탄소중립을 이루기 위해선 개발도상국에 대한 선진국의 재정 지원도 필요하다고 했다. 반 전 총장은 "미국·일본·EU 등 선진국들은 2009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개도국의 기후행동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면서도 "매년 지원액인 1천억원에 못 미쳤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제 협력과 파트너십 거버넌스를 통해야만 지속 가능한 미래로 나아갈 수 있다"며 "그런 만큼 우리는 이 위기를 혼자 극복할 순 없다. 다함께 탄소중립을 향해 나아가야 지속 가능한 세상이 올 것"이라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