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 농기계임대사업 참 좋은데…배송도 해주면 안될까요?

도내 22개 시군에 총 73개소 임대소 설치…지난해 17만여 건 임대 '인기'
차량 등 운송수단 없으면 하늘의 별 따기…배송 서비스 '간절'

농기계임대사업소 내부 전경. 경북도 제공
농기계임대사업소 내부 전경. 경북도 제공

경북에서 시행 중인 농기계임대사업이 노동력 절감, 경제적 부담 경감 등 효과가 커 농민 호응을 얻고 있지만 배송 서비스를 보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운송수단이 없는 농민은 농기계를 임대하고 싶어도 방법을 찾지 못해 하늘의 별 따기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26일 경북도에 따르면 도내 22개 시군에는 총 73개소의 농기계임대사업소가 설치돼 있으며 2004년 시작된 이래 지난해 말까지 시설설치, 농기계 구입 등 누적된 투자액은 962억5천500만 원이다.

지난해 1년간 17만4천480건 임대해 2015년 7만450건보다 2배 이상 증가하는 등 농민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운영인원도 2015년 191명이던 것이 지난해 382명으로 증가해 지역 일자리 창출 역할도 톡톡히 한다.

다만 하나 아쉬운 점이 배송 서비스라는 목소리가 제기된다. 포항의 한 농민은 최근 경북도청 홈페이지에 올린 글을 통해 "농기계 임대를 하고 싶어도 영농현장까지 운반할 수단이 없어 포기하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호소했다.

실제 도내 일부 시군이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도 있지만 모든 임대소가 일괄로 배송 서비스를 시행하지는 않고 있다는 게 경북도 관계자의 설명이다. 시군마다 실정에 맞춰 서비스 중이나 일괄로 적용하기 어렵다고 한다.

배송 서비스를 도입하려면 전담 인력을 충원해 배치하거나 위탁 업체를 이용해야 해 비용이 든다. 또한 무료 배송이 아니라면 농민에게 일정량의 운송료를 부담시킬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이 때문에 배송 서비스를 시행하는 곳에서도 시군마다 배송 비용과 방식이 제각각인 여건이다.

지역 농업계 한 관계자는 "차량 운행이 어려운 고령 농가, 갓 귀농한 새내기 농부 등은 농기계 임대가 절실하지만 운송이 어려워 고민하는 사례를 종종 볼 수 있다"면서 "시군별로 이들의 수요를 살펴 대안을 찾아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했다.

한편, 도내 농기계임대사업소는 총 1만4천4대의 농기계를 갖추고 있다. 개소당 192개꼴이다. 잔가지 파쇄기, 농기계용 사다리, 동력제초기, 보행관리기 등이 인기 기종으로 꼽힌다. 지난해 임대수익은 37억5천여만 원을 기록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