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보름 지속된 '가창 산불' 피해 면적 3배 증가…대구 역대 2위 규모

가창 주암산 산불 11ha→89ha로 확대, 오리 마을 28ha→23ha로 20%가량 줄어
가창 산불 원인은 여전히 깜깜이…내달 중순쯤 결론 나올 듯

지난 2월 말부터 보름간 지속된 가창 산불 당시 현장. 매일신문 DB
지난 2월 말부터 보름간 지속된 가창 산불 당시 현장. 매일신문 DB

지난 2월부터 보름간 지속됐던 대구 달성군 '가창 산불'의 산림 피해 면적이 기존보다 3배 가까이 확대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6일 산림청은 가창 산불의 감식을 담당한 한국산불방지협회가 이달 중순 피해 면적을 정정 보고했다고 밝혔다. 통상 산불은 진화 직후 지자체와 관련 기관 등이 면적을 추산하고, 이후에 전문가들로 구성된 한국산불방지협회가 현장 조사를 거쳐 확정한다.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 2월 26일 가창면 용계리 주암산에서 발생한 산불 피해 면적은 기존 11ha에서 89ha로 8배 넘게 확대됐다. 육안으로는 확인되지 않았던 산림 피해가 정밀 조사 과정에서 드러난 것으로 풀이된다. 비슷한 시기 주암산으로부터 약 1.5km 떨어진 오리 마을에서 발생한 산불 피해 면적은 28ha에서 23ha로 20%가량 줄었다.

이에 따른 최종 피해 면적은 112ha로, 기존 39ha보다 3배 가까이 늘었다. 이는 통계가 작성된 1986년 이래 대구에선 두 번째로 큰 규모다. 가장 피해가 컸던 산불은 1988년 동구 동내면(현 동내동)에서 발생한 산불이었으며 피해면적은 167ha다.

하루 500~600명이 투입된 가창 산불은 경사가 가파르고 암석이 많아 진화대원이 불을 끄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낙엽과 암석 밑에 숨어있던 잔불이 바람과 만나 꺼졌다 붙기를 끊임없이 반복했다. 같은 기간 '울진·삼척 대형 산불'이 한창이었던 탓에 헬기 지원도 받을 수 없었다.

발화 원인은 여전히 깜깜이다. 경찰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 한국산불방지협회 등 기관들은 산불이 꺼졌던 지난 3월 중순부터 발화 원인을 찾기 위해 합동감식을 진행했다.

경찰은 인근 주민들을 통한 탐문 수사부터 폐쇄회로(CC)TV 등 원인을 조사했으나 방화 관련 증거물을 없는 것으로 결론을 지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도 화기 등 인화성 물질은 없는 것으로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한국산불방지협회가 원인 규명을 위해 현장 조사를 이어가고 있다. 협회마저 원인을 밝혀내지 못할 경우 가창 산불은 '원인 없음'으로 종결될 전망이다. 한국산불방지협회 관계자는 "원인 규명은 조사 중이라 공식적으로 말할 수 없다"면서도 "앞으로 2~3주 후에는 결론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