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지방 이전 논의가 무르익으며 지방자치단체들의 유치전에 불이 붙을 전망이다. 공공기관 이전은 윤석열 정부의 주요 국정 과제로 다뤄졌다. 지역 균형 발전 등 이전 명분은 충분하다. 아직도 공공기관의 44%가 수도권에 있다. 김병준 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장도 지난 23일 활동 결과 브리핑에서 "상당히 폭넓은 수준의 공공기관 지방 이전을 할 것"이라 밝힌 바 있다.
큰 장이 열린 셈이다. 삼성, SK 등 대기업도 최근 940조 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펼쳤다. 지역 산업 지도를 바꿀 전환점으로 삼을 수 있는 때다. 우리 지역은 노무현 정부의 공공기관 지방 이전에서 한국수력원자력(경주), 한국도로공사(김천), 한국가스공사(대구) 등 굵직한 공공기관을 유치했다. 물론 이전한 지 10년 안팎인 이들 기관이 지역에 뿌리내렸다고 말하긴 어렵다. 다만 지역 분위기 쇄신에 마중물이 된 건 틀림없다. 윤 정부에서 진행될 공공기관 이전에 지자체의 촉각이 곤두선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윤 정부의 공공기관 이전에 대응해 부산과 전남은 기민하게 움직인다. KDB산업은행 부산 이전은 정부 내 공감대 형성이 빠르게 진행되는 기류가 포착되고 있다고 한다. 나아가 부산은 금융 중심지를 표방하며 한국수출입은행, 수협중앙회 이전까지 넘본다. 전남도 농생명산업 융복합화 등 어젠다를 선점했다. 농협중앙회·은행 본사 이전을 정부에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고 한다. 대구는 IBK기업은행,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등 18개 공공기관의 유치를 희망한다고 현 정부에 피력한 바 있다.
대구경북도 지역의 역량과 가능성을 내세우되 체계적인 전략으로 나서야 한다. 다다익선이라는 식으로 공공기관 유치에 나서는 건 안일하다. 지역 산업 생태계와 어우러질 수 있는 공공기관 유치여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IBK기업은행 유치 등 지역 산업계가 한목소리를 내고 있는 기관 유치에는 특히 과감해야 한다. 어떤 기관이 오느냐에 따라 산업 생태계와 미래 먹거리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윤석열 '탄핵소추안' 초안 공개…조국 "尹 정권 조기 종식"
尹 회견때 무슨 사과인지 묻는 기자에 대통령실 "무례하다"
"촉법인데 어쩌라고"…초등생 폭행하고 담배로 지진 중학생들
"삼성 입사했는데 샤오미된 꼴"…동덕여대 재학생 인터뷰 갑론을박
스타벅스도 없어졌다…추락하는 구미 구도심 상권 해결방안 없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