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서대구역세권 개발 속도…하·페수처리장 지하로 옮기고 공원·아파트 조성

공공시설 및 민자 유치 난항·토지 소유주 반발 등 해결 과제 산적
하폐수 처리장 후적지에는 공원·아파트·수변공원 등 들어설 전망
복합환승센터엔 공공시설 유치 계획 중…도시재생혁신지구 지정 신청키로
개발구역 내 26% 사유지…토지 보상 두고 갈등 예고

상공에서 바라본 서대구 역세권 개발 지역 모습. 매일신문 DB.
상공에서 바라본 서대구 역세권 개발 지역 모습. 매일신문 DB.
6일 이전을 앞두고 있는 서대구 달서천공공하수처리장의 모습.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6일 이전을 앞두고 있는 서대구 달서천공공하수처리장의 모습.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서대구역 주변 악취 문제를 해결할 하·폐수처리장 통합지하화 사업이 닻을 올리면서 서대구역세권 개발 사업 전반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서대구역복합환승센터 건립을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역세권 개발 계획도 속속 마련되고 있어서다.

다만, 복합환승센터 건립비를 충당할 공공시설과 앵커시설 등 민자 유치가 쉽지 않고 기존 공장 등이 들어서 있는 토지 소유주들과 갈등이 예고되는 등 해결 과제가 적지 않다.

◆서대구 하·폐수처리장 통합지하화 본궤도…2027년 완공 목표

서대구역 하·폐수처리장 통합지하화 사업은 인근 하·폐수처리장 4곳을 북부하수처리장 지하로 통합, 이전하고 지상에 공원과 수변시설 등을 조성하는 게 골자다.

시는 지난달 31일 이 사업에 단독 입찰한 GS건설 컨소시엄을 최종 사업자로 선정했다. 14개 업체로 구성된 컨소시엄에는 GS건설, 현대엔지니어링 등 대형 건설사와 함께 화성산업, 서한, 태왕이앤씨 등 지역 건설사들도 참여해 상생을 꾀한다.

컨소시엄 측은 6천억 원을 투입, 기본설계와 실시 설계 등을 거쳐 오는 2027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하·폐수처리장은 지하 20~30m 깊이로 조성되고, 지상 10만㎡ 터에는 공원이 들어선다.

지하의 오염된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하도록 100m 높이의 배기탑을 만들고 전망대로도 활용한다. 시는 하수와 폐수를 동시 처리하는 시설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되는 점을 고려해 자문기구인 기술안전협의체를 구성하는 등 기술 검증과 시민 공감을 이끌어낼 방침이다.

지상에는 80억 원을 들여 캠핑장과 상시개방형 수영장 등 금호강과 연계한 수변공간을 조성한다. 기존 처리장이 있던 달서천·염색1·염색2 하·폐수처리장 후적지에는 주거단지와 공원, 교육 및 체육시설, 상업 시설 등이 들어선다.

달서천 하수처리장 후적지에는 대규모 주거단지를 유치하고, 염색산단 폐수제1처리장은 공원과 녹지공간으로 꾸민다.

두 곳 모두 염색산단과 인접한 자리에는 지식산업센터 등 아파트형 스마트센터를 짓기로 했다. 서대구역세권 남측인 염색산단 폐수제2처리장에는 문화 시설과 공원, 상업 시설 등이 자리 잡을 예정이다.

서대구역세권 개발사업 위치도. 대구시 제공.

대구 서남부권의 교통 접근성을 높일 고속·시외버스 복합환승센터도 2024년 착공을 목표로 점차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시는 복합환승센터 건립을 민관합동방식으로 추진하되 남측과 북측으로 세분화했다. 남측에는 주차장 부지를 활용, 최고 40층 규모의 복합환승센터 건립 용역을 추진 중이다. 시는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말까지 국토부의 승인을 받을 계획이다.

아울러 센터 내 4, 5층 규모로 들어서는 환승시설의 건립 비용 500억 원 중 최대 250억 원을 국비로 확보하고자 오는 9월 국토교통부에 도시재생혁신지구 승인을 신청하기로 했다.

복합환승센터 상부에는 연구개발(R&D) 지원센터나 비즈니스 라운지, 코워킹스페이스 등 산업 관련 공공기관이나 공공시설을 유치해 건립 비용을 충당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서대구역세권 개발사업 조감도. 대구시 제공.
서대구역세권 개발사업 위치도. 대구시 제공.

◆공공시설·민자 유치 쉽잖아…토지 소유주들 반발 극복도 숙제

서대구역세권 개발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지만 공공시설 및 민자 유치와 사유지 확보 등 해결 과제도 만만치 않다.

남측 복합환승센터는 건립 비용 충당을 위한 공공기관 및 공공시설 유치가 숙제다. 국토교통부의 도시재생혁신지구로 승인받으면 공공시설을 유치할 근거가 마련되고 환승시설 건립 비용의 절반을 충당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체 복합환승센터 중 환승 시설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들어설 공공기관이나 공공시설을 유치하는 자체가 쉽지 않은 과제다.

북측에 호텔과 복합쇼핑몰 등 앵커시설을 건립할 민자 유치도 넘어야 할 산이다. 앵커시설에 대한 민자 유치가 여의치 않으면 역세권 개발 사업 전체가 흔들릴 수 있어서다.

대구시 미래공간개발본부 관계자는 "쇼핑몰과 호텔 등 한두 곳에서 개발 여건 등에 대한 문의가 있는 상황"이라며 "아직 관심을 보인 민간업체에 대한 정보나 진행 상황 등을 발표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서대구역세권 개발사업 부지 내 사유지 수용 문제도 복잡하게 얽혀 있다.

역세권 내 민·관공동투자개발구역 66만 2천㎡ 가운데 26.4%에 달하는 17만 5천㎡는 사유지다. 이를 수용해 개발하려면 전체 사유지를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해야 한다.

이와 관련, 시는 사업비 7억 원을 들여 도시개발계획 수립 용역에 들어갔고, 올해 말까지 도시개발 구역 지정을 마칠 계획이다.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하더라도 토지 소유주들의 반발은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현재 서대구역 남측에 40여 곳, 북측에는 4개 공장이 개발 예정 부지에 포함돼 있다. 이곳에는 주거, 상업, 특화 시설 등이 들어설 전망이다.

서대구역세권 개발사업 조감도. 대구시 제공.

그러나 토지 보상과 개발 방식 등을 두고 토지 소유주들의 반발이 이어지면 사업 자체가 난관에 부닥칠 수 있다.

실제로 지난해 9월 시가 서대구역 내 광장 조성을 위해 이현삼거리 일대를 도시계획시설로 지정하고 토지 감정을 진행하자 감정 평가액을 두고 거센 반발을 겪었다.

서대구역 인근 정비공장과 주유소, 용접, 섬유 공장 등 40여 곳의 토지 소유주와 세입자들은 지난 4월 20일 서대구역세권 개발위원회를 구성하고 집단행동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정두흥 서대구역세권 개발위원회 회장은 "지난 2019년 9월 서대구역세권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것도 보상가를 낮추려는 꼼수로 보인다"면서 "공공개발을 이유로 생계가 달린 개인의 재산권을 침해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일방적인 토지 수용 방식이 아닌 환지 등 다양한 해법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한다. 필요하다면 토지 소유주들이 개발에 참여하는 방안도 고려해야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부지 내 국·공유지 수용은 순조로운 편이다. 한전 대구본부는 서대구역 인근 자재센터 부지(5만 1천㎡)를 군위 일반산업단지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한전 자재센터가 이전한 후적지는 오는 2027년부터 주상복합아파트 등 역세권 특화시설이 들어설 전망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서대구역세권 개발 부지는 수용을 원칙으로 하되 개발구역 내 토지로 보상하는 대토 방식 등 다양한 목소리를 수렴해 진행할 것"이라며 "오는 9월까지 주민설명회 등 대화의 장을 열고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