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화물연대 총파업, 포스코·현대제철 등 포항철강기업들 물량출하 전면 중단

포스코 2만t, 현대제철 6천500t 출하 자칠…생산중단 검토

화물연대 포항지역본부 노조원 700여 명이 7일 오전 10시 포항 포스코 본사 정문 앞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열었다. 박승혁 기자
화물연대 포항지역본부 노조원 700여 명이 7일 오전 10시 포항 포스코 본사 정문 앞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열었다. 박승혁 기자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이하 화물연대)가 7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하면서 포스코 포항제철소, 현대제철 포항공장 등 지역 철강기업들이 물량출하 전면 지연에 따른 생산중단을 우려하며 긴장하고 있다.

화물연대 포항지역본부는 이날 오전 10시 포항시 남구 괴동동 포스코 본사 정문 앞에서 700여 명의 노조원이 참가한 가운데 총파업(운송 거부) 출정식을 가졌다.

화물연대 측은 "2020년부터 시행에 들어간 안전 운임제 폐지 철회를 요구한다"며 "운송료 인상, 지입제 폐지 및 운송산업 구조개혁, 노동기본권 확대 및 화물노동자 권리보장 등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운송거부는 계속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안전 운임제는 화물 운전기사들의 적정임금을 보장함으로써 과로·과적·과속을 방지하겠다는 취지로 도입됐으며 '일몰제'이기 때문에 올해 말 폐지 예정이다.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당장 포항제철소와 현대제철 등은 물류차질을 빚으며 대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포항제철소는 하루 평균 출하(5만t) 물량에서 육송이 차지하는 2만t 출하가 전면 지연되고 있고, 현대제철 포항공장 역시 하루 출하량 약 6천500t이 모두 중단됐다. 포항제철소와 현대제철 측은 총파업이 풀릴 때까지 물량수송 자체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포항철강공단 내 290개소 기업 가운데 운송이 필요한 철강제품 1차가공업체 50개소 기업 역시 파업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리 원자재를 확보하고 물량을 출하해 당장은 문제없지만 장기화되면 공장가동 중단을 고려해야할 처지다.

포스코 관계자는 "최근 철강수요가 많기 때문에 전면 출하지연은 포항제철소와 고객사 등에 상당한 피해를 불러올 수 있다"며 "선박과 철도로의 운송 전환 및 자체 운송수단 및 보관창고 확보 등을 통해 파업에 대비하고 있다. 긴급재는 사전출하와 운송사 별도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제품 출하가 전면 중단 됐다. 일단 창고에서 보관하고 있지만 사흘을 버티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생산중단과 공장정비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