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과 습도가 높아 세균 증식이 활발해지는 여름철을 맞아 병원성대장균 등 식중독 예방, 음식물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손씻기 ▷익혀먹기 ▷끓여먹기 ▷칼·도마 구분 사용하기 ▷세척·소독하기 ▷보관온도 지키기 실천 등을 준수해야 한다.
여름철 다수 발생 식중독균으로 병원성대장균, 장염 비브리오균 등이 있으며 경북 지역에서 매년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최근 5년간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발생 현황 통계에 따르면 총 195건 8천881명의 환자 중 여름철(6~8월)에만 114건(58%) 6천357명(72%)의 환자가 발생했다.
발생 장소는 학교가 5천424명(61%)으로 가장 많았고 기업체 등의 집단급식소 1천744명(20%), 음식점 865명(10%)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원인 식품은 채소류 3천34명(67%), 복합조리식품(도시락 등) 457명(10%), 육류 202명(4%), 어패류 175명(4%) 등 순이다.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은 오염된 채소를 제대로 세척하지 않고 생으로 섭취했거나 소고기 등 동물성 식재료를 충분히 가열하지 않았을 때 발생할 수 있다.
경북도는 여름철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사전 예방을 위해 어린이집 식중독예방 합동점검(6월), 하절기 대비 다중이용시설 합동점검(7월), 신학기 대비 학교·유치원 합동점검(8월)을 펼칠 예정이다.
식중독지수 및 예방요령 문자서비스 제공, 식중독 사전 예방 컨설팅 교육·홍보물품 지원 등을 통해 선제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박성수 경북도 복지건강국장은 "식중독을 포함한 식품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선제적 대응을 하고 도민 건강을 위한 식품안전관리 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