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매일신문 '구하라 시리즈' 보도 이후…대구시, 지자체 첫 빈곤아동 실태조사

올해 12월까지 실태조사 진행해 '대구형 아동지원정책' 개발 예정

수성구 황금동의 한 주공아파트에 거주하는 강우네(가명 12). 좁은 거실에 빨래가 널려 있다. 배주현 기자
수성구 황금동의 한 주공아파트에 거주하는 강우네(가명 12). 좁은 거실에 빨래가 널려 있다. 배주현 기자

주거빈곤 아동의 실태를 다룬 매일신문의 '구하라 시리즈' 탐사보도와 관련해 대구시가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빈곤 아동 및 아동학대 실태조사에 나선다. 이를 통해 빈곤이 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대구형 아동 지원 정책을 개발할 예정이다.

대구시는 용역비 1억원을 투입해 '대구지역 빈곤 아동 및 아동학대 실태조사 용역'을 지난 3일 착수했다고 8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대구의 빈곤 아동은 전체 아동의 10% 수준인 4만명으로 추정된다.

빈곤 아동에 관한 실태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매일신문 '구하라 시리즈' 보도 등을 통해 대구 전체 아동가구 중 5.7%인 1만7천188가구가 최저 주거 기준에 못 미치고, 이곳에서 생활하는 아동은 2만7천519명으로 파악됐다. '대구, 이 동네를 구하라' 5편과 '주거빈곤, 이 아이를 구하라' 4편으로 이어지는 '구하라 시리즈'는 지난해 5월부터 8월까지 매일신문에 연재됐다.

대구시는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과 함께 빈곤과 아동학대의 연관성도 찾기로 했다. 빈곤에 처한 아동은 신체질환은 물론 강박증 등 정신건강에 좋지 못한 환경에 노출되는 경향이 있고 성장기 자아 존중감 형성과 가족 간 소통, 학업과 친구 관계 맺기 등에 어려움을 겪는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대구시의 아동학대 신고건수는 지난 2020년 1천868건에서 지난해 2천68건으로 증가했다.

실태조사는 올 12월까지 이어지며 조사를 통해 '대구형 아동 지원 정책'도 함께 개발할 계획이다. 오는 9일에는 2022년 상반기 '대구시 광역아동보호전담기구' 회의를 열어 대구시 교육청, 경찰청, 아동보호전문기관과 함께 아동학대 정책에 관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대구시는 7월부터 주거취약계층 실태조사도 따로 진행한다. 조사 대상에 홀몸 노인 가구, 장애인 가구뿐 아니라 18세 미만 아동 가구 등을 포함해 주거빈곤에 내몰린 아동들의 실태를 함께 조사한다.

조윤자 대구시 여성청소년교육국장은 "아동에 관한 위기 상황 발생 시 공공 중심의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아동보호체계를 촘촘하게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