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오는 29~30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리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 대통령의 사상 첫 나토 정상회의 참여가 되는 셈이다.
윤 대통령은 9일 대통령실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나토 정상회의 참석 여부 관련 질문에 "준비는 하고 있는데 확정했다고 보기는 아직 어렵다"고 밝혔다. 나토는 이번 정상회의에 비회원국인 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 4개국 정상을 초청했다.
윤 대통령이 참석을 못박은 것은 아니지만, '준비'를 언급한 만큼 참석 쪽으로 무게추가 기운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최근 대통령실은 마드리드 현지에 경호, 의전, 안보라인 등의 지원팀을 파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이 이번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한다면 다자외교 무대에 데뷔하는 것으로, 이미 참석을 확정 지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는 불과 40여 일 만에 재회하게 된다. 그간 역대 대통령들이 취임 후 첫 국외 순방지로 미국을 택한 것과 구분된다.
여기에 한국 대통령으로는 역대 처음으로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하게 된다. 한국은 2006년 나토의 글로벌 파트너국가로 참여한 이후, 나토와 훈련·교육·재난대처 등과 관련해 관계를 유지해왔다. 정의용 전 외교부 장관이 지난해 처음으로 나토 외교장관 회의에 초청돼 참석했다.
윤 대통령의 나토 정상회담의 참여는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과 동북아시아의 전략적 중요성을 확인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바이든 행정부가 이번 회의에서 러시아와 중국의 급속한 군사화에 대응하기 위한 '신(新)전략 개념' 문서를 채택하겠다고 공언한 만큼 윤 대통령이 어떤 메시지를 내느냐에 따라 향후 대중·대러 외교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덩달아 커졌다.
이러한 가운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도 참석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어 한미·한일·한미일 정상회담 가능성도 거론된다. 한일정상회담은 2019년 12월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총리가 중국에서 열린 한중일 정상회담 참석을 계기로 양자 회담을 한 것이 마지막이다.
관건은 한일 정상회담을 위한 의제 조율이다. 양국 간에는 일본의 수출규제 문제,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문제, 강제징용·위안부 문제 등 풀어야 할 현안이 산적하다. 이 때문에 박진 외교부 장관이 이달 중하순에 일본을 방문해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과 회담하는 방안을 조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