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야고부] 지방선거 이후 해평취수장

모현철 논설위원
모현철 논설위원

지방선거 이후 단체장이 바뀐 일부 지역에서 전임 단체장의 역점 사업에 제동을 거는 움직임이 잇따르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대표적인 곳이 경북 구미다. 구미는 4년 전 대구경북에서 유일하게 더불어민주당 소속 단체장을 배출한 곳이다. 이번엔 국민의힘 김장호 후보가 구미시장에 당선되면서 '구미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 문제'가 난관에 부딪치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김 당선인이 사실상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 무효를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선거 전부터 재검토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장세용 시장과 취수원 문제를 두고 대립한 김 당선인은 70%가 넘는 득표율을 얻었다.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 재검토의 명분이 생긴 셈이다. 지역 최대 현안인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 문제가 우여곡절 끝에 해결점을 찾았지만 사업이 추진 동력을 잃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낙동강 상류 지역 물 문제는 1991년 페놀 사태 이후 30년간 풀리지 않았던 난제였다. 이 협정으로 구미 해평취수장을 대구경북이 공동으로 이용하게 돼 페놀 사태 이후 깨끗한 먹는 물 확보에 사활을 걸었던 대구의 숙원을 풀 수 있게 됐다.

김 당선인이 무조건 구미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 문제를 반대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차기 구미시장으로서 협정에 반대하는 시민의 여론을 거스르기 힘든 입장도 이해한다. 물 문제는 대구와 구미가 상생발전하는 방향으로 논의돼야 한다는 것이 김 당선인의 주장이다. 구미 발전을 위해 통 큰 보상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얘기도 공감이 간다. 그렇다고 해서 구미 해평취수장의 대구 공동 이용 협정이 흔들리는 일은 없어야 한다. 김 당선인은 구미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 문제를 이성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정부와 지자체가 합의한 협정을 파기해서는 곤란하다. 전임 단체장의 역점 사업인 해평취수장 대구 공동 이용 협정 폐기 여부를 독단적으로 처리해서는 안 된다. 시민단체와 전문가, 주민들과의 소통과 논의가 반드시 필요하다.

정부는 구미 발전을 위해 통 큰 지원책을 내놔야 한다. 낙동강 수계 취수원 다변화는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이기도 하다. 구미 해평취수장의 대구 공동 이용 협정이 실효를 거둘 수 있도록 정부와 대구시, 경북도, 구미시가 더 협력해야 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