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13일 새 비상대책위원회를 정식 출범하자마자 오는 8월 예정된 전당대회 룰을 두고 계파 간 신경전이 격화하고 있다.
민주당 당규 제65조에 따르면,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투표에서 대의원 45%, 권리당원 40%, 일반 국민 여론조사 10%, 일반당원 여론조사 5% 순으로 반영, 합산한다.
현역 의원 등 지역위원장이 임명하는 대의원의 경우 친문(친문재인)계가, 3·9 대선을 전후해 입당이 급증한 권리당원의 경우 친명(친이재명)계와 비문(비문재인)계가 우세하다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이에 친명계를 포함한 비문 진영 전반에선 최근 대의원 비율 축소를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친명계 안민석 의원은 "계파 청산, 대의원 특권 폐지 등 당 해체 수준의 혁신을 위해 민주당을 수술대 위에 올려놓기를 바란다"며 "대의원 특권 폐지로 당 대표 이준석을 배출한 국민의힘보다 혁신을 못한다면 희망이 없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민주당 소신파로 분류되는 박용진 의원은 대의원, 권리당원 등 당심보다 민심 자체를 보다 더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13일 BBS 라디오에 출연해 "민주당에 가장 충성도 높은 전국 대의원, 더 센 권리당원 그리고 다른 당 지지자 뺀 일반국민 여론조사 이렇게 반영되면, 70%의 민주당에 호감을 갖지 못한, 그러나 이들을 설득하고 이들에게 표를 얻지 못하면 집권이 불가능한, 이런 국민들을 빼고 전당대회를 치르게 되니까 제도적 개선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했다.
반면 친문계는 룰 변경에 대해 반대하고 있다.
친문 핵심 전해철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에서 "기본적으로 그런 규칙(룰)을 바꾸는 것은 이와 같이 시기적으로 당면해서 해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다만 이제 지금 일부에서 이야기하는 대의원의 비중과 권리당원의 비중이 지나치게 한쪽으로 편중되어 있는 이런 조정은 가능하지만 본질적 변경은 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계파 간 갈등이 격화하는 가운데 우상호 비대위원장이 룰 변경 가능성을 시사한 것도 또 다른 변수다.
우 위원장은 지난 12일 기자간담회에서 "당원 의사 반영률이 너무 낮다는 불만이 생길 수 있다"며 "조정이 필요하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