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의 사회경제적 위치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지표는 다양하다. 그중에서도 '질(質) 좋은 일자리'야말로 모두의 희망 사항이다. 좋은 일자리가 많은 시·도 지역은 젊은 인재들이 모여들고 소비층이 두터워지면서 자영업자들과도 선순환을 이룰 수 있다. 문화·예술의 발전 역시 창의적 인재와 경제력이 뒷받침될 때 꽃을 피울 수 있다. 1960~1980년대 고도성장기, 대구·경북은 바로 이런 곳 중 하나였다.
세상은 변했지만 그 변화의 속도만큼 대구·경북이 따라가지 못했다는 평가가 많다. 그 결과 대구·경북은 좋은 일자리가 부족하고 청년들은 떠나가는 곳이 되었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고 있다. 국세청의 근로소득 신고 현황(2020년)에 따르면 대구의 1인당 평균 근로소득은 3천500만 원, 경북은 3천560만 원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13위 및 11위로 하위권을 맴돌았다. 평균 근로소득이 낮다는 것은 일하는 직장이 변변치 못하다는 것을 방증한다.
개발경제 시절 대표적 지역 홀대론이 제기됐던 곳은 광주·전남 등 호남 지역이었다. 놀랍게도 전남의 1인당 평균 근로소득은 3천590만 원으로 7위를 기록했고, 광주는 3천580만 원으로 8위에 올랐다. 소외 지역으로만 알았던 광주·전남이 어느새 중상위권 근로소득을 챙기는 지역이 되었다. 상위권은 공무원 도시 세종과 특별시 서울, 경기, 충남, 대전 등 중부경제권(수도권+충청권)과 대기업이 많은 울산이 독차지했다. 대구·경북의 현주소가 더욱 초라하게 느껴진다.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면서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1천60조 원이 넘는 역대급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산업화 시대(1960~1990)와 정보화 시대(1990~2020년)에 이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또 한 번의 전환기를 맞이한 셈이다. 대구·경북은 대기업 투자 유치를 통해 새로운 도약을 이루기 위한 총력전을 펼칠 예정이다. 하지만 여전히 산업사회의 패러다임과 인프라에만 의존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려는 것은 아닌지 걱정과 우려가 앞선다. 자칫 정보화 시대의 실패를 반복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새로운 시대의 고부가가치 산업은 문화와 일상생활의 매력적인 삶이 함께 어우러지는 대도시 도심 집중형이라는 특성을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