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고] 울진 산불 피해지, 산사태 막아야

강성철 전 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장(풍·수해분야 방재전문가)

강성철 전 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장(풍수해 분야 방재 전문가)
강성철 전 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장(풍수해 분야 방재 전문가)

최근 10년(2012∼2021년)간 산사태로 총 2천603㏊의 산림이 피해를 입었고 월별로는 8월(1천271㏊, 48.8%)과 9월(644㏊, 24.7%)에 주로 발생했다. 지역별로는 영남(912㏊, 35%)과 중부 지역(677㏊, 26%)에 피해가 집중됐다. 그리고 2016년 이후부터 산사태 피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또한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2019년 가을장마, 2020년 역대 최장 기간 장마, 2021년 지역별 편차 등 산사태 피해 시기와 지역 예측이 매우 어려워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집중호우도 빈발했으며 태풍은 평년(3.4개)보다 많은 평균 4.3개가 한반도에 영향을 줬다.

전 지구 이상기후와 관련해서 재해 현황을 분석하면 우리나라 주변국인 중국·일본, 서유럽 독일과 벨기에, 인도에서 폭우와 홍수로 인해 많은 생명과 재산 피해를 입었다.

올해도 이상기후로 한반도에 영향을 주는 집중호우와 태풍의 수가 증가하고 장마 기간이 늘어나는 등 산사태 예방에 취약한 기후 환경으로 변하고 있다는 예측이다. 특히, 인위적 개발지 인근에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봄철 대형 산불 피해 지역에서의 토사 유출이 크게 우려된다.

산불 피해 지역은 산불로 식생이 타고 없어 표토가 노출됐고 산불 재로 인한 토양공극 감소로 불투수층이 증가함에 따라 지표 유출은 최고 870배, 토층 침식은 200배 정도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산불 피해를 입은 산지는 지반이 약화돼 우기 시 산불 피해 지역의 급경사지 붕괴 위험도 증가한다는 것이다.

산불 후유증 중에서 가장 무서운 것은 '산사태'다. 그 실례로 2000년 동해안 산불 피해지인 강릉시 사천이 2002년 태풍 '루사'에 의해 큰 피해를 입었다.

또다시 이러한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울진 등 대형 산불이 발생했던 피해지에 대한 철저한 현장 조사를 실시해 인명 피해가 예상되는 인가 및 생활권의 수계 중심으로 산불 피해목은 산림 밖이나 일정 거리 위로 이동 조치하는 등 여름철 우기 전에 위험 요소를 제거해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등 2차 피해를 막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산불 현장에서 탄 산불 재 등 잔재물이 계곡과 하천을 따라 바다로 유입되면 해양 생태계 파괴가 우려되는 만큼 특단의 대책을 병행해 강구하기 바란다.

산사태 발생 시는 전문가로 구성된 '산사태 원인 조사단'을 투입시켜 산사태 피해 현황 및 발생 원인 조사·분석, 피해지 복구 방안 등 신속·정확한 조사와 복구 계획을 수립해 견실한 응급 및 항구 복구가 실현되도록 잘 추진해야 한다.

산사태 담당 부처와 지자체에서는 태풍과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는 물론 땅 밀림 등 새로운 유형의 산림 재해 예방에도 체계적으로 대비해야 한다. 또한 산사태 발생 시 주민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산사태 취약 지역' 주민 대피 훈련을 반복적으로 실시하고 매뉴얼도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

도로 사면 및 택지개발지 붕괴 등 인위적 산지 개발에 따른 재해 예방 관리 체계 마련과 여름철 수해로 인한 산사태 등 산림 분야 자연재해로부터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우기 전 '산사태 취약 지역' 중심으로 사방댐 및 계류보전사업 등 재해 예방 시설을 갖추고 산사태 주의보 및 경보 예측 정보를 24시간 전에 제공해 신속한 주민 대피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고도화해서 국민이 안심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도록 우리 모두 최선을 다하자.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