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용돈 우습다, '집' 가진 미성년자들…최근 3년간 2천719건, 액수로 4천749억원

27일 KB국민은행 리브부동산이 발표한 월간KB주택시장동향 자료에 따르면 6월 서울 주택 매매가격은 1.01% 상승해 전월(0.80%)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수도권 전체적으로는 지난달 1.18%에서 이달 1.63%로 오름폭이 커졌다. 인천을 제외한 5대 광역시도 상승 폭이 확대돼 0.81%에서 1%로 올랐다. 이런 영향으로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은 지난달 0.96%에서 이달 1.31%로 오름폭을 키웠다. 사진은 이날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27일 KB국민은행 리브부동산이 발표한 월간KB주택시장동향 자료에 따르면 6월 서울 주택 매매가격은 1.01% 상승해 전월(0.80%)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수도권 전체적으로는 지난달 1.18%에서 이달 1.63%로 오름폭이 커졌다. 인천을 제외한 5대 광역시도 상승 폭이 확대돼 0.81%에서 1%로 올랐다. 이런 영향으로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은 지난달 0.96%에서 이달 1.31%로 오름폭을 키웠다. 사진은 이날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최근 약 3년 간 미성년자 주택구입 건수는 2천719건, 액수는 4천74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4일 한국부동산원으로부터 제출받은 '미성년자 주택구입 현황' 자료에 따르면, 건수는 2019년 332건, 2020년 728건, 2021년 1천410건, 2022년 3월 249건 등 총 2천719건으로 집계됐다.

주택구입 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주택구입 액수도 크게 늘었다. 2019년 638억원, 2020년 1천354억원, 2021년 2천345억원, 2022년 3월 412억원 등 총 4천749억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 나이 7세 이하 미취학 아동들의 주택구입 건수와 액수는 2019년부터 올해 3월까지 각각 383건과 571억원으로 분석됐다.

김회재 의원은 "'부모 찬스'를 이용한 막대한 자산소득에 계층이동 사다리가 끊어지고 있다"며 "삶의 출발선부터 시작되는 격차를 완화시키기 위해 정부가 청년층 자산형성 지원에 더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