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 노후 업무시설·소규모 노후 건축물 등 특별 점검 나선다

변호사 사무실 방화 관련 후속 조치…소방 점검 및 피해 최소화 대책 마련

10일 경찰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대구 수성구 변호사 사무실 방화 사건 현장에서 정밀 감식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10일 경찰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대구 수성구 변호사 사무실 방화 사건 현장에서 정밀 감식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구시가 변호사사무실 방화 참사 관련해 지역 내 노후 업무시설의 소방 점검과 소규모 건축물 특별 안전 점검에 나선다.

시는 화재가 발생한 건물과 구조가 유사한 노후 업무시설 가운데 화재에 취약한 217곳을 대상으로 소방 점검을 진행한다.

점검 대상은 준공 후 20년이 지난 5층 이상 건물로 연면적 3천㎡ 이상이 대상이다. 시는 소방서 특별조사반 및 각 구‧군 건축부서와 합동 점검을 통해 위법 사항이 발견되면 행정명령, 과태료 처분 등을 내릴 계획이다.

또한 시설 이용자 특성에 맞춰 피난 방향과 비상탈출 방법 등 교육과 안전 컨설팅도 병행한다.

그동안 정기 안전 검사 대상에서 빠져 있던 소규모 노후 건축물에 대해서도 특별 안전 점검을 실시한다.

3층 이하·연면적 1천㎡ 미만의 건축물 12만 동 가운데 화재 위험성이 있는 500동을 선정, 민간전문가와 관할 소방서가 합동으로 특별안전점검을 벌이기로 했다.

오는 8월 22일부터 두 달 간 진행되는 국가안전대진단 기간에는 노후 건축물의 구조안전 진단과 소방 안전 분야 점검도 추가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지난 2020년부터 추진 중인 '화재안전성능 보강사업'도 올해 안에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고시원, 목욕장, 노유자 시설, 지역아동센터 등 화재취약 시설 194곳에 가연성 외장재 교체, 간이 스프링클러 설치 등을 지원한다.

현재 137곳은 설치를 완료했거나 진행 중이고, 57곳은 소유자 등과 협의 중이다.

건축물 소유자가 각 구·군에 안전 점검을 신청하는 '찾아가는 안전 점검 제도'도 내년부터 도입하고, 대구시 및 중구, 달서구에 설치된 지역건축안전센터도 전체 구‧군으로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아울러 화재 발생 시 소방차가 도착할 때까지 유독가스 흡입을 막아 피해를 줄이는 '구조 골든타임 확보 운동'도 추진한다. 방독면, 산소마스크, 구조타올 등 긴급 피난물품을 확보함으로써 화재 피해를 줄이자는 것이다.

시는 관련 부서와 협업을 통해 취약계층 이용 시설과 다중이용시설을 중심으로 홍보에 나서는 등 범시민 운동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김종한 대구시 행정부시장은 "화재 예방을 위해서는 시설관리자의 자발적인 안전점검과 화재 피난물품 비치, 스프링클러 설치 협조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