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택시 미터기도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앱 미터기' 시동

바퀴 회전 수 방식에서 GPS 기반 앱으로 요금 산출
요금 투명성 확보…청소년, 노약자 등 안전 제공

서울시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임시허가를 받아 운영 중인 택시 앱 미터기. 연합뉴스
서울시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임시허가를 받아 운영 중인 택시 앱 미터기. 연합뉴스

대구 택시업계가 다음달부터 디지털 앱 미터기를 시범 도입한다. 1957년 10월 대구에 택시 면허가 처음 발급된 지 65년 만이다.

위치와 거리 등 정확도를 높인 위치정보시스템(이하 GPS)을 기반으로 구성하는 앱 미터기는 시범 운영 기간을 거쳐 지역 택시업계 전반으로 확산할 전망이다.

26일 대구시와 대구법인택시운송사업조합(아하 조합) 등에 따르면 다음 달부터 대구에서 운영하는 택시 1만 5천800여 대 중 300대를 대상으로 앱 미터기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

조합은 27일 조합원 12명으로 구성한 '앱 미터기 추진위원회' 회의를 열고 시범 운영에 관한 최종 점검을 진행했다.

조합은 앱 미터기 도입으로 택시 서비스 질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무엇보다 앱 미터기는 택시 요금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스마트폰 등에 탑재된 GPS를 활용해 실시간으로 택시의 시간, 거리, 속도를 책정하고 위치를 파악하기 때문이다. 바퀴회전수를 활용하는 기존 기계식 미터기 경우 '부당 요금'을 둘러싼 승객 민원이 끊이지 않았다.

지난 2019년 앱 미터기를 먼저 시범 운영한 서울시 모니터링 결과 요금 오차율은 0.87%, 거리 오차율은 1.05%로 나타났다. 기계식 미터기(요금 오차율 2% 미만, 거리 오차율 4% 미만)외 비교해 정확도가 훨씬 높았다.

요금 투명성과 더불어 청소년, 노약자 등의 탑승 기록과 이용내역 등을 가족 등에게 제공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조합 측의 설명이다.

서덕현 대구법인택시운송사업조합 전무는 "시범 운영을 거쳐 운영 적합성 등을 철저하게 평가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