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대 대구시의회 개원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변화'를 키워드로 지역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방자치법 개정에 따른 변화상이 바로 이번 시의회를 통해 가장 직접적으로 드러날 예정인 만큼, 시의원 당선인들은 물론 공직사회에서도 어떤 점이 달라질 지에 촉각을 기울이는 분위기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상은 의장단의 권한 강화다. 지방자치법 개정에 따라 이번부터 시의회 의장이 직원들의 인사권을 손에 쥐게 됐다. 모두 대구시 소속 공무원인 이들의 인사권은 지금까지 시장이 쥐고 있었는데, 견제기관인 시의회 직원의 인사권을 단체장이 행사한다는 점에서 꾸준히 문제로 지적돼왔다.
그러나 이번 시의회부터는 인사권이 시의회로 넘어오면서 '독립 기관'으로서의 의회 위상이 한층 높아지게 됐다. 한 시의원 당선인은 "인사권은 물론이고 전반적인 의장단 권한이 늘어났다는 점을 기대하는 이들이 많더라"며 "이 때문인지 일찌감치 여기저기서 의장 선출과 관련된 연락들이 쇄도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인원이 늘어났다는 점도 핵심적인 변화로 꼽힌다. 기존 30명에서 32명으로 단 두 명이 늘어났을 뿐이지만 행정적인 변화 폭은 생각보다 크다. 지방자치법 시행령에서 각 지방의회 상임위원회·전문위원 수를 정하는 기준이 '의원 30명'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번 시의회부터는 상임위원회를 하나 더 둘 수 있게 됐고, 시의원들의 보다 세부적인 의정활동도 가능할 전망이다. 이미 시의회는 본관에 있던 홍보담당관실과 기자실 등을 다른 건물로 분산시킨 뒤 새 상임위를 위한 회의실 등 공간을 마련했다.
지난 8대 시의회와 비교했을 때 초선 시의원들의 비중이 줄었다는 점도 변화의 포인트다. 8대 시의회는 30명 중 초선이 무려 26명에 달했지만 이번에는 18명에 불과하다. 물론 여전히 과반 이상이 초선이지만, 재선 이상 시의원이 크게 늘었다는 점은 안정적인 의정활동을 기대하게 하는 요소라는 평이다.
다만 국민의힘 독점 구도가 오히려 더 강화됐다는 점은 우려 대상이다. 전체 시의원 32명 중 더불어민주당 소속 육정미 당선인을 제외한 나머지 31명이 모두 홍준표 대구시장 당선인과 같은 국민의힘 소속이어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