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부처 자주 찾는 강영석 상주시장 “상주 현안사업 해결은 국가발전에도 호재”

내년 국비확보 총력…끊어진 문경~상주~김천 철로 건설 필요성 제기

강영석(오른쪽) 상주시장이 지난달 29일 기획재정부를 방문, 현안사업에 대한 국비 지원 당위성을 설명하고 있다. 상주시 제공
강영석(오른쪽) 상주시장이 지난달 29일 기획재정부를 방문, 현안사업에 대한 국비 지원 당위성을 설명하고 있다. 상주시 제공

"이 사업만큼은 지방은 물론 국가발전에도 크게 도움 되는 것이니 꼭 반영될 수 있도록 건의 드립니다."

경북 상주시가 2023년도 국비 예산 확보와 지역 현안사업 해결을 위해 정부 부처의 공감대 형성에 일찌감치 나섰다.

강영석 상주시장은 정부예산 편성을 앞두고 지난달 14일과 29일 기획재정부를 집중 방문, 김완섭 예산실장과 한경호 사회예산심의관, 김태곤 예산총괄과장, 정희철 기후환경예산과장을 잇달아 면담했다.

이 자리에서 강 시장은 상주시의 주요 현안사업인 ▷문경~상주~김천 고속전철화건설의 필요성과 지역주민의 열망을 재차 설명하고 KDI 예비타당성 통과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협력을 당부했다.

문경~상주~김천 철도 연결 사업은 고속화전철인 중부내륙철도(서울 수서~경북 문경)와 남부내륙철도(경북 김천~경남 거제)를 연결하는 사업이다.

건설 계획이 확정된 중부내륙철도와 남부내륙철도 사이에는 문경~상주~김천 구간 73㎞가 끊어진 기형적 형태로 남아 있다.

때문에 상주 시민들은 수도권에 가려면 자가용이나 버스를 이용할 수밖에 없고, 열차를 타려면 문경이나 김천, 대구로 나가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문경~상주~김천 구간 철도 건설사업이 관철되면 허리가 끊긴 한반도의 철로가 연결돼 낙후된 경북 서북부 지역 개발 촉진과 관광자원 개발 등 국토 균형개발에도 호재를 맞게 된다.

또 서울과 경남 주민들도 이 구간이 연결돼야 남북을 쉽게 오갈 수 있게 된다. 상주시 역시 2차 공공기관 이전 및 신물류단지 입주에 대비하고 KTX 역세권 개발을 꾀할 수 있다.

강 시장은 이 구간 철도 연결을 위해 최근 2년여 간 수십차례 정부 부처와 국회를 찾아 당위성을 역설해 왔다.

강영석 상주시장이 지난해 12월 16일 청와대 광장에서 문경~상주~김천 고속철도 연결을 촉구하는 상소문을 올린 뒤 시민들과 함께 사업 촉구를 외치고 있다. 상주시 제공
강영석 상주시장이 지난해 12월 16일 청와대 광장에서 문경~상주~김천 고속철도 연결을 촉구하는 상소문을 올린 뒤 시민들과 함께 사업 촉구를 외치고 있다. 상주시 제공

이밖에 강 시장은 ▷정부에서 승인한 국도 25호선 상주(내서~화서) 건설사업의 조속한 착공과 ▷상주 함창 공공하수처리시설 설치사업 ▷청리일반산업단지 공공폐수처리시설 2단계 설치사업 ▷낙동강 수열에너지 조성사업 등 상주 지역의 역점 신규 사업에 대한 예산 반영도 건의했다.

강 시장은 SK그룹이 1조원을 투자하는 청리일반산업단지의 현황을 설명하고 기업과 지역이 상생하기 위해 폐수종말처리장의 증설이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해 긍정적인 답변을 얻었다.

또한 강 시장은 "정부가 조성한 상주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화석연료를 때는 지열을 이용해 냉난방 등을 가동하고 있다"며 "인근에 있는 낙동강 상주보 일대에 수열에너지 조성사업을 완료, 혁신밸리 등에 공급하면 탄소중립 재생에너지가 화두가 된 국가적 시점에서 에너지 자립시설의 모범 사례가 될 수 있다"고 설명해 관심을 받기도 했다.

이 사업은 상주시가 환경부와 환경공단에 기술적 검토를 의뢰해 긍정적 결과를 도출한 바 있다.

중부내륙철도 미연결 구간(문경~상주~김천 구간) 국가철로의 허리가 끊겨져 있다. 상주시 제공
중부내륙철도 미연결 구간(문경~상주~김천 구간) 국가철로의 허리가 끊겨져 있다. 상주시 제공

또 상주시의 아파트 신축시 공공하수처리장의 공동 이용으로 문경과 갈등 소지가 있는 경계지역 함창읍에 하수처리장 건립의 당위성을 설명하고 환경부도 인정한 시급한 사안임을 강조했다.

이어 행정안전부도 방문, 교부세과장을 면담하고 특별교부세사업 용도변경의 필요성과 현안사업 특별교부세 지원을 요청했다.

강영석 상주시장은 "국가와 상주발전을 함께 견인할 주요 현안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국비 확보가 꼭 필요하다"며 "12월 정부 예산안이 국회에서 확정되는 순간까지 중앙부처를 설득하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지역 국회의원, 관련단체 등과의 유대 강화와 대응논리 개발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