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신임 경찰 78.4% "경찰 조직 열정적이지 않고 희망 없어"…냉소주의 확산

신임 경찰관 패널조사…'지휘부 열정 없다' 42.2%, '조직 미래 희망적이지 않다' 36.2%
연구진 "인사 공정성 확보하고 자율·주도적 업무방식 전환해야"

경찰 관련 자료 이미지. 연합뉴스
경찰 관련 자료 이미지. 연합뉴스

신임 경찰관들 상당수가 경찰 조직 운영이 불공정하고 내부 소통이 단절돼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가 최근 신임 경찰관 1천131명을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발간한 '한국 경찰의 개인 및 조직 특성' 보고서에 이같은 내용이 실렸다.

이들 신임 경관들은 2017년 중앙경찰학교에 입교해 입직 6년차에 접어든 경찰관들로, 계급은 순경(24.0%)과 경장(74.0%)이 대부분이며 연령대는 20대(46.3%)와 30대(53.0%)가 대다수다.

공정 이슈에 민감한 MZ세대(1980년대초∼2000년대초 출생)답게 조사 결과에서도 이들의 불공정에 대한 문제의식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경찰조직 내 중요보직은 업무성과가 아닌 인맥에 달려있다'는 문항에 응답자의 49.4%가 '그렇다'고 답했고 14.9%만이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보통이다'는 35.7%였다.

'조직변화에 대한 좋은 의견을 제안해도 잘 반영되지 않는다'는 문항에서도 '그렇다'가 42.0%에 달했지만 '그렇지 않다'는 14.2%에 그쳤다.

'우리 조직은 자신이 하지도 않는 일에 부당하게 공적을 인정한다'에는 '그렇다' 29.7%, '그렇지 않다' 24.9%로 집계됐다.

조직에 대한 냉소주의도 2030 경찰관들 사이에 널리 퍼진 상태다.

응답자 42.2%가 '우리 조직 지휘부들은 열정적이지 않다'고 평가했고, 응답자 36.2%는 '우리 조직의 미래는 희망적이지 않다'고 내다봤다. 두 문항에서 '그렇지 않다' 답변은 각각 17.2%, 21.2%였다.

'현재 조직에 추진되는 혁신안들은 좋은 결과를 낼 것 같지 않다'는 질문에선 '그렇다' 37.6%, '그렇지 않다' 17.2%였고 '이 조직에서 일이 절반이라도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이 놀랍다'에 문항에서도 '그렇다'(29.9%)가 '그렇지 않다'(27.0%)보다 많았다.

연구진은 "젊은 경찰관들이 어떤 부분에서 냉소주의를 인식하는지 면밀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며 "젊은 세대의 인력들과 소통의 장을 공식적으로 연다거나 공정하지 못한 지시내용에 대해 고민해봐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재 경찰 보직 관리는 객관적 기준이 없고 주로 인사권자나 평정자의 주관적 평가, 인간적인 관계, 친밀도가 강하게 작용한다"며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보직 체계 미비점을 체크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