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가 2030년까지 원전 발전 비중을 30%로 확대하고, 울진 신한울 원전 3·4호기 건설을 재개하는 '새 정부 에너지 정책 방향'을 심의·의결했다. 문재인 정부가 2019년 탈원전 정책 기조 아래 세운 '제3차 에너지 기본계획'이 폐기되고, 윤 정부의 탈원전 폐기 정책이 국가 에너지 계획에 반영된 것이다.
윤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폐기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세계 최고의 원전산업 생태계가 허물어지고, 원전 수출이 가로막히고, 한국전력의 적자 폭증으로 전기 요금 인상을 초래하는 등 폐해가 산을 이뤘다. 망국적인 탈원전 정책을 폐기한 것은 마땅한 수순이다.
탈원전을 폐기한 새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거는 기대가 크다. 지난해 27.4%였던 원전 발전 비중을 2030년 30% 이상으로 확대하는 것은 세계적 흐름과 일치한다. 신한울 3·4호기 공사를 최대한 신속하게 재개하기로 한 것은 원전산업 복원에 마중물이 될 것이다. 4천억 원을 들여 독자적인 소형모듈원전(SMR) 노형을 개발하기로 한 것은 세계 원전시장 선점을 위한 디딤돌이 될 수 있다. 이들을 토대로 하면 2030년까지 원전 10기 수출을 목표로 한 정부 계획이 실현될 가능성이 높다.
윤 정부가 탈원전 정책 폐기를 공식화했지만 해야 할 일이 많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시급한 일은 문 정부가 박아 놓은 탈원전 대못을 뽑는 일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 등 곳곳에 포진한 탈원전 인사들에 대한 인적 쇄신이 필수적이다. 전력수급 기본계획,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등 관련 법과 계획 정비도 서둘러야 한다. 더 중요한 것은 '탈원전 징비록'을 만드는 일이다. 허황된 줄거리의 재난 영화 한 편을 모티브로 했다는 탈원전 정책이 어떻게 결정·추진됐고 어떤 결과들을 초래했는지를 생생하게 추적·기록한 탈원전 백서를 만들어야 한다. 대통령 한 사람의 잘못된 정책 결정이 국가와 국민에 얼마나 많은 피해와 고통을 주는가를 담은 '탈원전 징비록'이 다음 대통령들에게 교훈이 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