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尹 징계 주도했던 '한동수' 대검 감찰부장 사의 표명

한동수 대검찰청 감찰부장이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의 대검찰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동수 대검찰청 감찰부장이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의 대검찰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정부 시절 이른바 '추-윤 갈등' 국면에서 윤석열 대통령(당시 검찰총장)의 징계를 주도했던 한동수(56·사법연수원 24기) 대검찰청 감찰부장이 최근 사의를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부장은 내년 10월까지 임기가 남아있지만 최근 사의를 표했다고 전해졌다고 연합뉴스가 5일 보도했다.

판사 출신인 한 부장은 2019년 10월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퇴 직후 외부 공모로 대검 감찰부장에 임명됐다.

2020년 11월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윤석열 당시 총장을 직무에서 배제하고 징계를 청구하자 대검에서 관련 절차를 주도했고, 그해 12월에는 윤 전 총장 징계위원회에 직접 증인으로 출석하기도 했다.

앞서 2020년 4월 채널A 기자와 한동훈 현 법무부 장관(당시 검사장) 사이의 유착 의혹을 조사하겠다고 나서 검찰총장이던 윤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우기도 했다.

검찰 안팎의 사건에 계속해서 관여해온 만큼 윤 대통령 등과 관련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수사의 주요 참고인 역할을 했고, '이성윤 고검장 공소장 유출 의혹'을 조사하면서 주요 자료를 법무부 보고에 누락했다는 혐의로 스스로가 검찰 수사 대상이 되기도 했다.

한 부장은 임명 당시부터 '친여' 성향으로 분류됐고 윤 대통령과 부딪친 고비 때마다 추미애 전 장관 등 여권 인사들과 보조를 같이했으나, 스스로는 "(언론이 자신을) 친여·친정부 성향의 이상한 사람으로 매도했다"며 SNS 등을 통해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않았다.

지난해 법무부의 연임 결정으로 한 부장의 임기는 내년 10월까지로 연장됐으나 정권이 바뀌면서 직무를 이어나가기 쉽지 않을 것이란 이야기가 나왔고, 올 5월에는 지난해 검찰 내부망에서 자신을 공개 비판한 부장검사가 직속 부하인 감찰과장에 보임됐는데 한 부장 견제용 인사라는 말도 나왔다.

검사장급인 대검 감찰부장은 전국 고검 5곳에 설치된 감찰지부를 총괄하며 검사의 직무를 감찰한다. 2008년부터 외부 공모를 통해 임용하고 있으며, 자격은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판·검사 또는 변호사 등이다. 임기는 2년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