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준석, 잠행모드 속 장고…11일 회의 불참으로 격돌은 피할 듯

"'윤리위 결정 불복·가처분 신청' 만류 조언에 묵묵히 경청"
경찰수사 결과도 분수령…온라인 당원 가입 독려하며 재기 모색

위기에 선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11일 권성동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주재하는 최고위 회의에는 불참하면서 대응 방안으로 두고 장고에 돌압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대표측에 따르면 11일 열릴 최고위원회에 이 대표는 참석하지 않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권 원내대표가 직무대행 체제를 선언하고 당 수습 드라이브를 건 상황에서 무리한 충돌을 피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11일 회의는 불참하지만 이 대표는, 이후 진행되는 각 의원 모임과 의원총회 논의를 지켜보면서 분위기 변화에 기대를 거는 모습이다.

그러기 위해선 당분간 잠행은 불가피해 보인다. 실제로 지난 8일 새벽 윤리위 징계 직후엔 이 대표가 인터뷰 등을 통해 대대적인 여론전에 나설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지만 이틀이 지난 10일 오후까지도 이 대표는 '잠행 모드'를 이어가고 있다.

하루에도 몇 개씩 글을 쏟아내던 사회관계서비스망(SNS)에도 9일 별다른 설명 없이 '바람의 색깔'(Colors of the Wind) 유튜브 영상만 공유해놨을 뿐이다. 이와 함께 이 대표는 미리 잡아뒀던 언론·유튜브 인터뷰 등은 모두 취소했다.

법적 대응도 부담스런 입장이다. 이 대표는 일부 당 소속 인사들과 만났는데 '윤리위 결정에 불복하거나 가처분을 신청하는 식으로 대응하지 말라'는 의견이 다수 개진됐고, 이 대표는 묵묵히 이런 설명을 들었다고 한다. 윤리위 결정에 대한 수용 압박은 더욱 커지는 분위기다.

도덕성에 치명타를 입고 벼랑 끝에 내몰린 이 대표 앞에 놓인 카드는 많지 않아 보인다.

징계에 발목 잡혀 당 대표로서 권한 행사를 못 하는 탓에 최고위 등을 통한 징계 무효화도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물론 이 대표 측은 아직 직무가 정지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지만, 당내 여론은 윤리위 결정 즉시 직무가 정지된 것으로 봐야 한다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

이 대표가 쓸 수 있는 선택지 가운데 대표적으로 꼽히는 것은 윤리위 재심 청구와 징계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등이지만 이마저도 순탄치 않으리란 관측이 적지 않다.

윤리위 구성이 변하지 않는 한 재심 청구를 하더라도 결론이 변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는다는 게 당내 대체적 전망이다.

가처분 신청의 경우에는 여론과 법리 등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기각 시 정치적으로 더 큰 상처를 입을 수도 있다.

이 대표 측 관계자는 10일 "현재로선 다음 대응 방향에 대해 정해진 것이 없다. 모든 경우의 수를 놓고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