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에 선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11일 권성동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주재하는 최고위 회의에는 불참하면서 대응 방안으로 두고 장고에 돌압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대표측에 따르면 11일 열릴 최고위원회에 이 대표는 참석하지 않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권 원내대표가 직무대행 체제를 선언하고 당 수습 드라이브를 건 상황에서 무리한 충돌을 피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11일 회의는 불참하지만 이 대표는, 이후 진행되는 각 의원 모임과 의원총회 논의를 지켜보면서 분위기 변화에 기대를 거는 모습이다.
그러기 위해선 당분간 잠행은 불가피해 보인다. 실제로 지난 8일 새벽 윤리위 징계 직후엔 이 대표가 인터뷰 등을 통해 대대적인 여론전에 나설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지만 이틀이 지난 10일 오후까지도 이 대표는 '잠행 모드'를 이어가고 있다.
하루에도 몇 개씩 글을 쏟아내던 사회관계서비스망(SNS)에도 9일 별다른 설명 없이 '바람의 색깔'(Colors of the Wind) 유튜브 영상만 공유해놨을 뿐이다. 이와 함께 이 대표는 미리 잡아뒀던 언론·유튜브 인터뷰 등은 모두 취소했다.
법적 대응도 부담스런 입장이다. 이 대표는 일부 당 소속 인사들과 만났는데 '윤리위 결정에 불복하거나 가처분을 신청하는 식으로 대응하지 말라'는 의견이 다수 개진됐고, 이 대표는 묵묵히 이런 설명을 들었다고 한다. 윤리위 결정에 대한 수용 압박은 더욱 커지는 분위기다.
도덕성에 치명타를 입고 벼랑 끝에 내몰린 이 대표 앞에 놓인 카드는 많지 않아 보인다.
징계에 발목 잡혀 당 대표로서 권한 행사를 못 하는 탓에 최고위 등을 통한 징계 무효화도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물론 이 대표 측은 아직 직무가 정지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지만, 당내 여론은 윤리위 결정 즉시 직무가 정지된 것으로 봐야 한다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
이 대표가 쓸 수 있는 선택지 가운데 대표적으로 꼽히는 것은 윤리위 재심 청구와 징계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등이지만 이마저도 순탄치 않으리란 관측이 적지 않다.
윤리위 구성이 변하지 않는 한 재심 청구를 하더라도 결론이 변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는다는 게 당내 대체적 전망이다.
가처분 신청의 경우에는 여론과 법리 등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기각 시 정치적으로 더 큰 상처를 입을 수도 있다.
이 대표 측 관계자는 10일 "현재로선 다음 대응 방향에 대해 정해진 것이 없다. 모든 경우의 수를 놓고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