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부터 소서, 대서까지 이어지는 기간은 장마철로, 이 기간만 되면 평소에 무릎이나 어깨가 안 좋던 사람들이 무릎, 어깨를 붙잡고 관절통에 대한 걱정부터 갖기 시작하는 기간이다. 이렇게 매년 찾아오는 장마철 무릎 통증은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장마철에 왜 이렇게 다른 기간보다 어깨나 무릎이 아픈지 알기 위해선 먼저 기후에 대해 알아야 한다. 장마철에는 비가 연속적으로 오면서 평소보다 습도가 굉장히 높아지고 기압이 낮아지게 된다. 습도가 높아지면 연골이 관절액으로부터 흡수하는 영양이 적어지고, 체내로 수분 흡수가 원활하지 않게 되면서 부종이 나타난다. 이렇게 부종이 생기게 되면 관절이 붓게 되면서 염증반응을 일으키기 쉬운 취약한 상태가 된다. 이 과정에서 장기간 비가 내려 바깥 활동을 못하게 되고 움직임이 적어지면 근력이 약해지고 골간에서 완충제 역할을 해주는 윤활액이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해 관절의 통증은 더욱 심해진다.
또한 기압이 내려가게 되면 기압이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던 관절 내부의 압력이 깨지고 유지력이 떨어지게 되어 관절 내 조직인 힘줄, 근육, 뼈 등이 팽창하거나 수축한다. 이런 팽창이나 수축을 통해 조직 간 마찰이 일어나게 되고 염증이 부어 오르거나 관절 주변부의 근육이 뭉치게 되며 신경을 더욱 자극해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한의학적으로는 이러한 관절통을 비증(痺證)의 범주에 넣고 있다. 여기서 비증이란 관절이 아프고 저린 감이 있으며 심하면 부으면서 팔다리의 운동 장애가 있는 관절염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비(痺)는 기와 혈액의 순환장애로 인해 저리다는 뜻이다. 풍(風)·한(寒)·습(濕)이 원인으로 발생하며 흔히 날씨가 차거나 비가 많이 내리는 장마철에 몸조리를 잘하지 못했거나 습한 곳에 오래 머물러 있는 것 등이 중요한 계기로 작용한다.
그렇다면 장마철 발생 가능성이 높은 관절통을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여러 가지 치료법과 생활관리가 있겠지만 그중에서도 제일 보편적이고 실행하기 쉬운 방법으로 2가지를 꼽을 수 있다. 바로 실내 온도의 적절한 유지와 무리가 안 갈 정도의 가벼운 운동이다.
먼저 온도에 민감한 관절은 실내외 온도차가 크지 않도록 실내 온도를 25~28℃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습도도 50% 내외로 유지해 주면서 혹시나 무릎이 시리다면 따뜻한 물로 적신 수건이나 핫팩 등을 이용해서 무릎을 데워주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한의학적 원인이 되는 풍(風)·한(寒)·습(濕) 또한 어느 정도 관리를 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운동으로 관절 주변의 근력을 강화해 주어야 한다. 추천 운동으로는 체중 부하가 상대적으로 적은 수영, 걷기, 자전거 타기 등이 있다. 장마로 인해 나가기가 힘들거나 집에 있어야 하는 경우는 실내 기구를 이용한 걷기, 자전거 타기도 좋다. 다만 과도한 운동은 오히려 관절염을 자극해 통증을 배가시키므로 힘들지 않은 정도의 적절한 운동만 해야 한다.
이런 관리를 하더라도 평소 관절이 안 좋았던 사람이나 관절의 통증에 민감한 사람들은 장마철에 견디기 힘들 정도의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럴 때는 전문적인 검사를 통해 관절의 상태를 확인하고, 문제가 되는 부분의 염증이나 근육의 뭉침을 치료하고 비증의 원인이 되는 기와 혈액의 순환 장애를 개선하는 등 다각적인 관점에서의 치료가 필요하다. 먼저 비증의 원인이 되는 기와 혈액의 순환 장애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관절 주위를 따뜻하게 하는 물리 치료, 혈액의 순환 장애를 개선하는 부항 치료가 도움이 된다. 또한 근육의 뭉침과 염증을 치료할 때는 근육을 직접적으로 풀어주는 침 치료와 항염증 기능이 강한 봉약침 치료를 병행하는 게 통증 치료에 있어서 효과가 있다.
이광명 대구 광명한방병원 병원장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